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165.jpg
KCI등재 학술저널

뇌졸중 및 노인 환자의 퇴원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Discharge Assessment Tool in Stroke and Elderly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 127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시기에 이루어지는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문헌고찰을 통해 평가 항목과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퇴원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연구방법 : 문헌 선정은 PubMed, Medline Complete(EBSCOhost), Scopus를 사용하여 2009년 1월부터2018년 12월까지의 온라인 데이터에 등록된 연구를 대상으로 최종 22편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연구설계 및 퇴원 시 주요 평가영역, 하위영역,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선택된 연구들의 연구 설계 형태는 기술적 연구가 13편(59.2%)으로 가장 많았다. 퇴원 시 평가영역은 의학적 상태, 일상생활활동, 삼킴 기능, 감각, 이동성, 인지·지각, 의사소통, 감정상태, 가정환경, 환자의 지식과 퇴원을 위한 준비, 사회적지지, 안녕감 등 12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에 따라 사용된 평가도구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빈도의 사용을 보이는 평가도구는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안녕감을 평가하는 Short Form Health Survey, 이동성을 평가하는 Timed Up and Go test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노인 환자의 퇴원 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평가 영역과 평가도구의 사용과 제한적이나 여러 영역을 포괄하는 평가도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시 고려되는 평가 영역과 효과적인 평가도구의 선택을 돕고 적절한 퇴원계획 중재와 제안을 위한 포괄적인 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analyze the assessment items and tools used for the discharge of stroke and elderly patients and to help select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discharge planning. Methods :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were collected from the PubMed, Medline Complete (EBSCOhost), and Scopus database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8. A total 22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earch types, the areas and sub-areas of assessment, as well as the assessment tools according to the areas were analyzed. Results : Descriptive research (59.2%)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research. The 12 main areas of assessment were medical cond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wallowing function, sensation, mobility, cognition and perception, communication, emotion, home environment, patient knowledge and readiness for discharge,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Among the assessment tool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were Ba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to asse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rt-Form Health Survey, to assess well-being, and Timed Up and Go test, to assess mo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will help select the assessment areas and tools to be considered at discharge of stroke patients and serv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ssessment tools for discharge planning.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