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복지법인 데이터 관리와 법제적 논점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Data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nd Related Legislative Issues

  • 127

사회복지법인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우리나라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주요한 축을 담당해 왔으며 민간부문 사회복지의 발전을 주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사업 운영주체인 사회복지법인에 대해서는 건전육성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가 그 동안 이루어지지 못하여 사회복지법인의 임원, 재산규모, 회계관리, 수익사업 현황 등 가장 기본적인 운영 데이터들이 확보되지 않은 채 사회복지법인 회계비리나 인권문제 등이 불거질 때마다 여론몰이식으로 사회복지법인데 대한 외부로부터의 개혁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왔고,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파악 없이 타율적으로 규제가 가중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 있다. 오늘날 복지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복지수요를 창출하고 있으며 사회복지법인에게도 새로운 역할을 요청한다. 사회복지법인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의 제도적 규율도 계속해서 외부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렇다면 사회복지법인과 관련된 제도는 어떻게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사회복지법인의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과거와 현재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래방향의 물음에 대한 답도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실증적인 데이터 관리가 사회복지법인이 처한 제도현황과 기능역할에 관련한 논의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그 의미를 먼저 검토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인 데이터 관리의 현 주소를 살펴보았다. 사회복지법제 속에서 사회복지법인이 어떠한 제도적 환경에 놓여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한 실태조사의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인의 객관적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사회복지법인 데이터 관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용과 이를 통해 제시되는 사회복지법인 및 관련 사회복지법제의 몇 가지 가능한 변화방향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사회복지법인은 민간사회복지사업 운영주체로서 그 동안 쌓아온 사회복지사업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모범운영사례들을 발굴하고 수집하여 전체 사회복지계에 이전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실태조사는 사회복지법인들의 자주적인 개혁과 발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앞으로, 사회복지법인 실태조사 의무를 「사회복지사업법」에 반영하여 정부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사회복지법인의 건전육성 지원 및 법인운영 제도개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회복지법인 데이터 관리가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사회복지의 발전과 이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long with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n Korea and have led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 the private sector. Nevertheless, a survey has not been conducted on social welfare corporations, which are the main entity of social welfare program, for healthy development and support. The sad reality is that social welfare corporations have continued to reform themselves and from outside due to public opinion manipulation whenever accounting irregularities and human rights issue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occur, and regulations on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re being increased without any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have not been secured even basic operational data such as executives, property size, accounting management, and profit business status. Changes in the welfare environment today create new demand for welfare and call for a new role in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lso, institutional discipline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continues to be tried externally. So how is it desirable to change the system related to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t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can begin with an accurate grasp of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Starting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analysis of empirical data on the past and present will reveal answers to future direction questions, we first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how empirical data can affect the current system and functional roles and observed data management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 Korea. Focusing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to understand what kind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in under the social welfare law system, we reviewed the objective statu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 an overview, and discussed the benefi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data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cluding some possible changes in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nd related social welfare legislation. Social welfare corporations have accumulated the know-how in the operating social welfare services as operating entity of private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urveys conducted to discover and collect these best practices and transfer them to the entire social welfare community mean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independent reform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propose that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promote the obligation to survey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and carry it out on a regular basis so that the data can be used for supporting the soundnes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nd improving the cooperate management system. We hope that the data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will continue to be implemented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life of the people.

Ⅰ. 서론

Ⅱ. 사회복지법인 데이터 관리의 필요성

Ⅲ. 실태조사를 통한 사회복지법인 데이터 관리

Ⅳ. 실태조사 결과 종합분석

Ⅴ. 법인 운영 관련 법제 방향

Ⅵ.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