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283.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념도 방법론을 활용한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양육 경험

학령기와 성인초기 발달장애 자녀를 중심으로

  • 11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와 성인초기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경험을 개념도 방법론(concept mapping method)으로 분석하여 그 내용과 중요도를 이해하여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P시의 장애인부모회 소속의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9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초점질문을 통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98개의 핵심적인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최종 진술문을 연구 참여자가 분류 및 평정을 하여 집단 유사성 행렬표(GSM)을 만들고 다차원척도법(ALSCAL)과 위계적 군집분석(Ward 방법)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경험은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어려움과 문제해결의 2개 차원으로 구분되었고 ‘장애 자녀에 대한 사회적 시선’, ‘장애 자녀 양육의 심리적 고통’, ‘자녀의 장애수용’, ‘강점 지지에 의한 양육태도 변화’, ‘사회적 참여와 통합’, ‘부모의 협력과 연대’, ‘차별 경험과 사회적 지지’의 7개의 군집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 중, 사회적 참여와 통합에 대한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5점 만점 4.82점).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자녀 부모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parents of school-aged and young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concept mapp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arents at Parent’s Association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oup similarity matrix was created based on sorting and rating of the final statements by study participan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create the concept map. The parenting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two dimensions: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nd difficulties and problem solving. The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several clusters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and ‘the acceptance of children’s disab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 서론 및 문제제기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