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344.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 행복, 직무만족도 사이의 매개효과와 장애로 인한 업무 지장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ork Disruption Due to Disability

DOI : 10.24226/jvr.2020.8.30.2.209
  • 561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행복의 관계에서 장애로 인한 업무 지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의 3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로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를 직무만족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를 통해 행복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장애로 인한 업무 지장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행복의 관계 사이에서 직무만족도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장애인 고용을 복지의 측면에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장애인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이 일하는 과정에서 장애로 인해 겪을 수 있는 환경적, 업무 내용적 어려움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정책 개입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ork interference due to dis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happiness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For the study, the data of 1,622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survey of 2nd wave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was analyzed using Mediation analysis and Moderated-Mediation analysis with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happiness.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was moderated by work interference due to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oretical foundation regarding the intervention and polic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