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우울증을 경험한 청년기 여성의 모래상자치료 단일사례연구

A single case study of sandtray therapy in adolescent women who experienced depression

  • 442
153360.jpg

본 연구는 우울증을 경험한 청년기 여성의 모래상자치료 사례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직장생활을 시작한 20대 후반의 여성으로 자신의 방향성을 찾아 일과 공부를 함께 하고 있었다. 모래상자치료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찾고, 우울감을 해소하여 일상생활에서 활력과 목표를 향해 더욱 정진해갈 수 있기를 원했다. 치료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에 Beck(1967)의 우울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매주 1회, 50분간 총 30회기 실시하였다. 모래상자치료 사례에서 내담자가 물을 표현한 회기의 사진을 추출하여 물이 갖는 상징적 의미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회기 초반에 창조의 의미를 상징하는 바다의 모습이 보였고, 중반에는 흐르는 강과 바다의 모습을 통해 내면의 정화와 치유를 상징하는 상자를 꾸몄다. 회기 후반에는 치열한 전투와 죽음을 통한 의식의 재탄생을 겪는 과정들이 나타나며 창조, 치유, 정화, 재탄생, 생명력을 상징하는 물의 의미가 상자에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내담자의 우울 척도 수치가 객관적으로 감소하였고, 둘째, 심리적 안정과 내면의 변화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을 돌볼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셋째, 내담자가 목표하는 방향성에 있어 더욱 정진해 나갈 수 있는 정신적 힘이 생겼으며, 대인관계에서의 소통도 편안해졌다.

This study is a case of sandtray therapy in adolescent women who experienced depress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woman in her late twenties who started her work life, and she was working and studying together looking for her direction. Through the sandbox treatment, he wanted to find emotional stability and relieve depression so that he could devote more to his vitality and goals in daily lif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Beck (1967) s depression scale tes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November 2018 to June 2019, for a total of 30 sessions for 50 minutes. In the case of sandtray therapy, a photograph of the session in which the client expressed water was extracted, and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was classified and analyzed. At the beginning of the session, the sea symbolizing the meaning of creation was seen, and in the middle, the flowing river and the sea were used to decorate a box that symbolizes inner purification and heal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session, the process of undergoing a rebirth of consciousness through fierce battles and death appeared, and the meaning of water, which symbolizes creation, healing, purification, rebirth, and vitality, appeared in the box.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the client s depression scale objectively decreased, and second, there was room for self-care in daily life throug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ternal changes. Third, the mental power to further devote itself to the client s goal direction was developed, and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came comfortabl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