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스마트미디어 중재 및 유아 자기조절력의 인과적 영향

The Causal Effect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Smart-Media Mediation, and Children’s Self-Control on Peer Competence

  • 430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및 스마트미디어 중재, 유아 자기조절력의 인과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부산과 경남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3~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283명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또래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넷째,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및 스마트미디어 중재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통하여 또래유능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유아의 또래유능성 향상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및 스마트미디어 중재가 유아의 자기조절력 변화를 초래하여 이뤄짐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smart-media mediation, as well children’s self-control and peer competence tendency. Method: Two hundred and eighty-three mothers of children aged 3–5 years were recrui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Results: First,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smart-media medi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elf-control. Moreover, children’s self-control affected their peer competence. Second, children’s self-control indicat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Moreover, children’s self-control indicat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smart-media medi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o improv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ir self-control can be managed through mothers’ increased play participation and smart-media mediation.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