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매체 활용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Art Materials in Group Art Therapy Cases by Art Therapists in a Mental Health Care Ward: Focus Group Interviews
- 정유진(Jung, You-jin) 이은주(Lee, Eun-joo)
- 한국미술치료학회
- 미술치료연구
- 제27권 제5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0
- 1109 - 1128 (20 pages)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들의 매체 활용 경험을 탐색하고 임상현장에서의 실증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매체를 활용함에 있어 치료적 활용을 연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에서 집단미술치료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사 12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는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매체를 선정함에 있어 병동의 환경적 특성, 환자의 다양한 증상적 특성, 매체 활용 방법의 다양성, 치료사의 특성, 치료목적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체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던 경험으로는 환자들의 사회적 경험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거나 환자들의 미술치료 참여 욕구를 자극하였을 때라고 하였다. 셋째, 매체가 환자에게 미친 영향으로는 환자들의 자기표현을 자극하게 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미칠 수 있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호병동 집단미술치료에서 매체 활용 시 어려움과 대처에 있어 치료 환경과 환자의 증상적 특징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고, 준비과정과 회기 진행과정에서 치료사의 적절한 대처 경험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임상현장에서 매체 활용을 이해해볼 수 있었으며, 추후연구와 임상에서 매체 활용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gather a basic data to study the clinical use of art materials based on collected clinical empirical data from art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 using group art therapy within a mental health care ward. The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2 art therapists,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clinical experienc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First, art materials were selected by art therapists with thorough consideration based on clinical setting, severity of patients’ symptoms, use of art materials, art therapist s style, and purpose of art therapy. Second, art materials were used most effectively when art therapists provided indirect social experience or encouraged participation from their patients. Third,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d that art materials created positive changes in patients via amplified self-expression. Fourth, the use of art materials in group art therapy ha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t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various patients symptoms. However, proper handling by art therapists was observed during the preparation and program activities. This study indicates how art materials apply to clinical practice in a mental health care ward, and this may be useful as basic data on clinical use of art materials and for future research.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