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애도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 상실 경험 여성의 우울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urning-Focused Group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Meaning of Life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Pet Loss

  • 552
153490.jpg

본 연구는 애도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 상실 경험 여성의 우울과 삶의 의미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최근 1년 이내에 반려동물 상실을 경험하고 우울을 겪고 있는 만 19세 이상 65세 이하 여성을 모집하여, 우울척도(BDI) 검사 결과 심한 우울 상태인 대상으로 총 10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무선 배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5월부터 2019년 8월까지로 실험집단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총 12회기, 주 1회 8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우울척도(BDI) 검사, 삶의 의미척도(MLQ)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을 위해 SPSS 25.0 맨-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변화를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도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우울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애도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실험집단의 삶의 의미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애도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 상실 경험 여성의 우울 감소와 삶의 의미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상실로 우울을 겪고 있는 반려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치료적 접근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urning-focused group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meaning of life of women who have lost their pe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women aged between 19 and 65 who have lost their pets due to aging, illness, and accidents, and have been experiencing depression. After selecting 10 participants who scored in the severe depression range on the BDI, they were randomly plac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five participants each. The study period was from May to August 2019. A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80 minut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BDI and the MLQ.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analyze and to the 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urning-focused group art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four sub-factors of the BDI of emotional, cognitive,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symptoms. Second, mourning-focused group art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two sub-factors of the MLQ of seeking meanings and discovering mean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mourning-focused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the meaning of life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pet-los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프로그램 회기별 과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