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509.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에 관한 연구 동향: 2001~2020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Parental Factors Affecting Pro-social Behavior in Young Children: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from 2001 to 2020

  • 39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4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도구, 부모요인, 매개․조절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유형은 대부분 양적․조사연구(97.7%)로 나타났다.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와 관찰검사를 함께 실시한 경우(39.5%)가 가장 많았으며 점차 자료수집 방법이 간소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 중 유아는 만4세(42.2%)가 가장 많고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부모는 어머니의 비중(59.5%)이 아버지의 비중(28.8%)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도구는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들을 수정하여 사용하는 경우(63%)가 많고 사용하는 연구도구의 다양성이 줄어들었으며, 표준화된 도구의 사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넷째, 부모요인은 양육태도요인(52.4%), 개인능력요인(14.8%), 자녀관계요인(9.8%) 순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양육태도 요인보다 개인능력과 자녀관계 요인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섯째, 매개․조절변인으로 유아요인(63.6%)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표준화된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parent factors affecting prosocial behavior in young children. To this end, 43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1 to the present were analyzed, focusing on research types, subjects, research tools, parental factors, and mediated and moderated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types of studi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97.7%).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most common when survey and observation tests were conducted together (39.5%), but the method types tended to be simplified gradually. Second, among the subjects studied, children aged 4 (42.2%) accounted for most, and the proportions of men and women were nearly identical. In addition, mothers (59.5%) represented a higher proportion than fathers (28.8%). Third, in many cases (63%), the research tools utilized were modifications of the tools used in prior research, and the diversity of research tools used was reduced. The use of standardized tools has not been reported. Fourth, among parental factors, parenting attitudes (52.4%), personal abilities (14.8%), and child relationships (9.8%) showed higher proportions. However,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the personal ability factor and the child relationship factor showed higher increase than the child care attitude factor. Fifth,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young children (63.6%) were most widely used as mediated and moderated variables.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tandardized tool for prosocial behavior is suggested, and basic data for parental education is provided to promote prosocial behavior in young childre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