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다문화 가정 아동 관련하여 교육기관 교사의 향후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ture Direction of Teach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 250
153530.jpg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교육기관에서 적응 및 지원현황과 실태를 알아보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사회적응 지원방안을 제시하여 아동의 성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또한 다문화 가정 아동의 국내외 지원정책과 교육기관 적응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이 미비하고 현 정부가 다문화 가정 지원 사업으로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사업이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을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과 부모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확인되어 건강한 아동의 성장을 위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며 부모교육이 우선 시 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함께 아동지원의 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교육의 프로그램의 부재로 역할 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언어의 발달 측면에서는 다문화 가정이 아닌 아동들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대책과 지원 등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일반가정 아동들처럼 각각 가정의 개별적인 특성 여부에 따라 적응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의 발달 지원을 위해서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다양한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다문화 가정의 문화를 소통과 누리과정 교사 연수를 비롯해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영유아 시기부터 다문화 교육을 확대시켜야 한다.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응력을 위해 부모 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하여 부모교육을 활성화하여 다문화 가정 부모를 위한 통합적 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필요성을 느낀다.

English abstract This study looked at the status and statu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daptation and support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posed measures to support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explore way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looked at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grams for adapt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s. First, we could see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suppor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insufficient and that the current government focused on projects to support migrant women as projects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role of parents and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has been confirmed for children, so the role of parents is important for healthy child growth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prioritized. Third, along with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eacher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children s support are having difficulty playing their roles due to multicultural awareness and lack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of teach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be somewhat lower than children from non-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language development, indicating that related measures and support were need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ke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have different adaptation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such, this study require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government should introduce a systematic education system,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support system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in Nuri courses, to exp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and the culture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early childhood. For the social 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feel the need to develop and support parental participation programs to promote parent education, and to provide integrated support services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adapt to life in Korea.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다문화가정아동 개선방안 및 지원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