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임종을 겪은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Art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d the Death of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232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사가 환자의 임종을 겪게 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구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고,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를 경험한 6명의 미술치료사를 연구참여자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5개의 본질적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고,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환자와 환자 가족의 마지막 추억을 공유함’, ‘삶의 끝에서 창작하는 환자의 증인이 됨’, ‘죽어가는 환자의 모습이 충격적이고 두려움’, ‘의료진들 사이에서 미술치료사로서 개입태도에 대해 고민함’, ‘삶과 죽음에 관한 성찰을 하게 됨’이다. 이처럼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이라는 특수한 임상 장면에서 환자의 임종을 겪은 미술치료사들은 당황스러움 속에서도 인생의 마지막 시간을 잘 보낼 수 있도록 돕고 싶어 애쓰고 환자와 가족 사이에서,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 갈등을 반복하며 삶과 죽음에 관한 성찰을 하는 미술치료사로 성장한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임종을 겪게 된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통해 앞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 슈퍼비전이 필요함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who observe patients on their deathbeds and identifie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 to understand them in detail. To this en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Participants in the study comprised six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in hospice palliative care. Five essential themes and 14 sub-themes are derived from the data; the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Sharing the last memori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Being witness to patients who attempt to create at the end of their lives,”“Shocked and fearful of patients dying,” “Worrying about when to intervene as an art therapist among medical staff,” and “Contemplating on life and death.” In the special clinical field of hospice palliative care, art therapists who stayed at patients’ deathbeds felt embarrassed but managed to help them in their final moments, wondering about their conflicting role between patients and families and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staff and, thus, growing up as art therapists who contemplate on life and dea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art therapies who observed patients on their deathbeds led to the conclusion that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supervision are needed in the field of hospice palliative car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