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그 개념적 관련성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ual Connections among Art, Education, and Culture for the Quality-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in Korea

DOI : 10.15815/kjcaes.2020.15.5.29
  • 1,148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담론 및 접근에서의 개념적 혼동을 줄여 현장의 문화예술교육실천가들의 실천에 보다 명료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 가정 되어야할 ‘예술’ 및 ‘예술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개념적으로 명료화하는 데에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근대적 예술관에 기반한 예술교육 접근으로서 ‘예술을 위한 교육’, ‘예술에대한 교육’, ‘예술을 통한 교육’ 이라는 세 개념을 각각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세 가지 접근을 보다 통합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탈근대적 예술이론의 기초로서 존 듀이와질 들뢰즈의 예술관에 주목하여 분과적인 근대 예술관을 넘어서는 예술의 의미 및 교육적 가치를탐색할 것이다. 셋째, 이를 통한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예술’, ‘교육’, ‘문화’를 어떻게 내적으로 새롭게 연결시키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들은 문헌연구에 기초한 논증의 방법을 통해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되고 검토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듀이와 를뢰즈의예술관에 기초하여 예술 교육이 그 고유의 정신을 실천하고 지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때, 우리의 삶에서 예술은 교육과 문화를 유기적으로 매개하는 실천적 활동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근대적 예술관에 기초한 위의 세 가지 예술교육접근을 새롭게 범주화하는 한 가지 새로운 방안(예술 안에서의 교육, 교육 안에서의 예술, 사회 안에서의 예술)을 시험적으로 제안한다.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and clarify the conceptual connections among art, education and culture, which have been vague and confused in the arts education policy in Korea. The confusion was always the source of troubles for arts education practitioners in Korea since it tends to lead them into totally different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in their practices. In doing so, the paper first critically examines three commonly received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for the last few decades: education for the sake of art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bout arts, to see if the way each approach views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can be valid for contemporary arts education today. Second, it examines two distinctive thinkers’ philosophical views on arts, John Dewey’s and Gilles Deleuze’s, to see if they can provide better concepts of the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where arts-experience is itself educative. Finally, the paper boldly attempts to show how art, education and culture can be conceptually connected in such a way as to give a direction on how arts education is to be delivered in the practice. This suggestion is supposed to show how arts education can be a way of awakening aesthetic experiences in the learner, where a principle of arts or artistic spiri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growth of learners’ being.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s a new way of framing arts education in Korea: education in arts, arts in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in society. These are all supposed to be governed by principles of arts or artistic spirit in their educational approaches because doing arts are the very way of being educative.

Ⅰ. 서론: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Ⅱ. 비판적 고찰: 세 가지 접근의 예술교육

Ⅲ. 새로운 예술관에 기초한 예술과 교육의 내적 관계

Ⅳ. 예술과 교육, 그리고 문화: 그 개념적 관련성

Ⅴ. 결론: 교육적 가치에 기반한 세 가지 범주의 예술교육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