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교사가 체험한 숲에서의교육생성에 대한 후기질적연구

A Post-Qualitative Study on the ‘becoming’ of Education in the Forest a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 258

이 연구는 숲에서 생성된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다수적 상황인 일반적인 교육공간으로부터탈주하여 숲이라는 공간에서 생성되어 나타나는 교육을 의미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숲교육 현장을 함께하며 숲교육을 하고 있는 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면담자료, 문헌자료, 참여관찰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탈근대라는 동시대성을 내포하고자 후기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그 중 들뢰즈의 존재론을 통해 생성(-되기)되어 나타나는 교육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의 교육적 체험이‘교육-하기’에서‘교육-되기’로 의미화되어 나타나게 하였으며, 교사와 더불어 아이존재와 숲이라는 공간의 존재의미들이 리좀처럼 서로 얽혀 드러나게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교육공간’, ‘교육적 관계’라는 주제로 개별적 사태들이재배치되었다. 먼저 교사들에게 숲에서의‘교육’은 가르침에서 벗어나 기다림으로, 그리고 연결됨으로 의미가 생성되었다. 다음으로 교사들에게 숲이라는 공간은‘교육공간’으로 재현의 공간에서 현시의 공간으로, 그리고 실존적 공간으로 의미가 생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숲에서의‘교육적 관계’는 중심화에서 함께함으로, 그리고 더불어 변화됨으로 의미가 생성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education ‘becoming’ and appeared in a space called a forest by deviating from the general educational space, which is multiple situations, to examine the meaning of education created in the forest. For this purpose, I have collected interview data, literature data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of 6 teachers who are participating in forest education from March 2016 to February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a post-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imply the contemporaneity of postmodernity, and I attempted to reveal the meaning of education generated(becoming) through Deleuze’s ontology. Such process made the teachers’ experiences to appear with the meaning of ‘educating’ to ‘to be educated’, and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the children and the space of the forest to be intertwined and revealed like a rhizom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arranged individual events under the themes of “education,”educational space,” and “educational relationship.” For the teachers, education became meaningful by breaking away from the act of teaching and seeking waiting and connecting. Next, for the teachers, the forest space was given significance as “educational space,” which changes from a space of reenactment to a space of demonstration, and then to that of existentialism. Lastly,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n forest was made significant by moving from centralization to together-ness, and then to invoking changes.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유아교사가 체험한 숲에서의 교육생성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