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19.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과의 내면화 이론으로서의 내러티브 이론

Theory of Narrative as Theory of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DOI : 10.17715/jme.2019.9.31.3.187
  • 11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이론은 교과의 내면화 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것이 가능한 것은 그 지식의 구조 이론을 매체 이론에 비추어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식의 구조 이론으로 설명되는 교과의 내면화는 지식의 구조가 표현되어 있는 개념-브루너의 용어로는 ‘중간언어’-을 매체로 하여 바로 그 지식의 구조를 획득하는 것을 가리킨다. 지식의 구조 이론에 이어 제시된 브루너의 문화 이론은 교과의 내면화 이론을 성립시키는 바로 그 매체 이론에 비추어 설명될 수 있다. 브루너의 문화 이론은 개념과 함께 문화를 매체의 하나로 제안하고 있으며, 이 점에서 그 문화 이론은 지식의 구조 이론에 나타나 있는 교과의 내면화 이론을 부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문화 이론과 함께 브루너가 강조하고 있는 내러티브 이론은 교과의 내면화 이론을 언어학적 측면에서 부연하는 것이다. 내러티브 이론에 비추어 해석되는 교과의 내면화 이론은, 무엇보다도 내러티브는 공통감각을 심층적 원천으로 하여 성립하는 언어라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공통감각은 마음과 몸이 분리되기 이전의 몸-또는 마음-이 가지는 감각-육감(肉感)-으로서, 5감에 보태어지는 또 하나의 감각이 아니라, 그 5감을 초월하여 있는 초감각에 해당한다. 이것은 곧, 공통감각은 전신체적 반응과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을 뜻한다. 이 점에서 교과의 내면화는 학습자의 전인격적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Bruner s theory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can be interpreted as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That is possible because the theory of structure of knowledge can be explained in light of the media theory. Viewed with the theory of structure of knowledge,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refers to the acquisition of the very structure of knowledge through the medium of the concept, ‘middle language’ in Bruner s terms, whi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is manifested. Bruner s theory of culture, which is followed the theory of structure of knowledge, can be explained in light of the very media theory that establishes the fundamental of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Bruner s theory of culture suggests that the culture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media, along with the concept, In this regard, the theory of culture can be seen as an expatiation of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as shown in the theory of structural of knowledge. The theory of narrative Bruner emphasizes along with theory of culture are the expatiation of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in terms of linguistics.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which is interpreted in light of the theory of narrative, is based on the fact that narrative, above all, is the language that have synesthesia, equivalent to the English word ‘common-sense’, as an in-depth source. A synesthesia is not another sense which is added to five senses, sense of taste, sight, hearing, smell and touch, but supra-sense that corresponds to the body s sense, in which the mind and body is not separated. This means that a synesthesia is not different from the response of the whole body. In this regard,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refers to bringing the learner to shaping the whole character.

Ⅰ. 서론

Ⅱ. 지식의 구조와 문화

Ⅲ. 내러티브 이론과 교과의 내면화 이론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