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33.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메니우스 ‘일체지’의 인식론적 해석

A Study on the Concept of ‘Pansophia’ of Comenius: Its Implications for the Contemporary Education

DOI : 10.17715/jme.2015.12.27.3.19
  • 87

이 글의 목적은 코메니우스의 ‘일체지’에 함축된 교육학적 의미를 드러내는 데에 있다.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과 일체지에 관한 종래의 해석은 거의 대부분 종교적-신학적 관점을 취하고 있으며, 일체지와 교과지식의 관련을 ‘전체와 부분의 관련’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해석은 일체지의 인식론적 지위를 분명하게 드러내지 못하고, 나아가 그것의 성립가능성 자체에 대한 인식론적 의문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우크쇼트의 논의에 비추어, 그 양자를 ‘총체와 양상의 관련’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해석될 때, ‘일체지’는 ‘다양한 지식들의 체계’나 ‘모든 지식들’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가리키는 것으로 되며, 그것은 코메니우스 당대는 물론이거니와 현대의 교육에도 여전히 심각한 의미를 지니는 교과이론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Although ‘pansophia’ is the core concept of the thoughts of Comenius, who was the author of the famous textbook, i.e., Orbis Pictus(the World in Pictures) and the great book of education, i.e., the Great Didactic, its epistemological status and implications have not yet been clear understood or revealed. Most of studies on ‘pansophia’ are based on the ‘religious-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e relation of ‘pansophia’ and ‘ordinary knowledges’ was regarded as that of ‘whole’ and ‘part’. Considering the life of Comenius as the leader of religious reformation, this perspective has no problem. Sticking to this perspective, his educational thoughts cannot have any important significances on contemporary education. Instead of this perspective, this paper presents ‘secular-philosophical’ perspective, in which the relation of pansophia and ordinary knowledges is regarded as that of ‘totality and its modes’, which is explicated in the Oakeshott’s Experience and its Modes. From this perspective, pansophia is not the whole of knowledges or system of knowledges, but the logical or metaphysical ground of knowledges. It is the different name of the ‘wisdom of God’. Comenius’s ‘pansophia’ as the theory of curriculum(or knowledge) ha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ontemporary educ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 of the 17th century.

Ⅰ. 서론 : 「세계도회」와 일체지

Ⅱ. ‘종교적-신학적 해석’: 전체와 부분

Ⅲ. ‘세속적-철학적 해석’: 총체와 양상

Ⅳ. ‘일체지’의 현대적 의미: 교과교육의 의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