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34.jpg
KCI등재 학술저널

루소의 ‘소극적 교육’ 재해석

Reconsideration on Rousseau’s ‘Negative Education’: Menon and Emile

DOI : 10.17715/jme.2015.08.27.2.65
  • 373

본 논문은 루소의 ‘소극적 교육’의 의미를 인식론이 아닌 윤리학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며, 그 가능성을 학습의 가능성과 필요성 문제를 논하는 「메논」에서 찾고자 한다. 「메논」은 주로 인식론의 관점에서 취급되어 왔고, 그 결과 학습의 가능성에 대한 여러 논의를 이루어왔으나 상대적으로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는 도외시되었다. 「에밀」 또한 인식론의 관점에서 경험론의 전철을 밟는, 그릇된 교육이론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학습의 필요성이라는 윤리학의 문제의식에 비추어 볼 때 대두되는 새로운 해석은 도외시되어왔다. 루소가 「에밀」에서 다루고자 한 문제는 교육을 통해 어떻게 선한 사람을 기를 수 있는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어떻게 교육을 통해 악한 사람, 예컨대 메논과 같은 인물을 기르지 않을 수 있는가에 있다. 루소가 보기에 메논은 덕의 학습의 필요성을 전혀 납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무지를 깨닫지 못하는 사람이며, 이 점에서 그는 루소 당시의 가식과 열등감, 그리고 위선으로 가득 찬 프랑스의 부르주아들과 같다. 루소의 보기에 인간은 사회 속에서 amour propre를 가질 수밖에 없지만, amour proper를 통해서 amour de soi를 찾아가는 숙명에 처해있다. 인간이 amour de soi로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이 교육이며, ‘소극적 교육’은 이러한 교육의 성공을 돕는 조치로 고안된 것이다. 루소의 반사회적 입장은 지식의 공적 성격을 간과한 인식론적 오류를 감수하면서도 에밀을 메논과 다른 ‘교육받은 존재’로 기르고자 하는 그의 야심을 반영한다. 루소의 ‘소극적 교육’은 에밀이 메논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조치로서 그것은 ‘자기 부정’과 ‘회심’의 단계가 된다.

What if Rousseau read Menon with the sense of problem to rescue the bourgeois class in France from their arrogance, pretence and snob in his time? The most ambitious work of Rousseau, Emile might have the solution to problem, which have not brought up by Plato, but have had by Rousseau,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negative education’, which shows Rousseau’s brilliant talent and ends up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was designed as a step to raise Emile up to be ‘educated person’ far from Menon. Conceived with the hypothesis, Emile should be read not only with the aspect of epistemology but also of ethics. This study consists in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Platon and Rousseau and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difference might originate from Rousseau’s succession to the theory of education of Platon, that is the succession to the absent idea of Platon’s theory. Keeping the fact in mind that Emile is affected by Platon’s works, this conclusion could not be countered with simple skepticism.

Ⅰ. 서론

Ⅱ. 「메논」의 문제의식: 학습의 가능성과 필요성

Ⅲ. 「에밀」의 문제의식: amour de soi와 amour propre

Ⅳ. 결론: ‘소극적 교육’의 재해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