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In Defense of Practical Ethics in Moral Education: A Reply to Jonathan Haidt

  • 4

도덕 심리학자 Jonathan Haidt는 그의 책 The Happiness Hypothesis에서 미국을 포함한 특정 서양 국가들의 최근의 도덕 교육 접근법에 대한 흥미로운 비평을 제시한다. Haidt의 비평의 중심에는 서구의 도덕적 사고에 대한 두 가지 전통인 ‘덕윤리학’과 ‘진퇴양난 윤리학’의 구분이 있다. 전자가 더 깊은 역사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면 후자는 현대 윤리학의 토론과 도덕 교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Haidt는 덕윤리학에서 진퇴양난 윤리학으로 바뀐 것은 ‘엄청난 실수’라고 주장하며 두 가지 이유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로 진퇴양난 윤리학은 도덕의 범위를 한정시키고 있으며, 둘째로 진퇴양난 윤리학은 현대 심리학이 잘못되었다고 밝힌 정신의 이성학적 모델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도덕 교육에 대한 현대적 접근법에 대한 Haidt의 반대가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진퇴양난 도덕론에 대한 비판은 과장되어 있고 확인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 필자는 두 가지를 시도하려고 한다. 첫째, 서구의 윤리적 사고에 관한 이 두 가지 전통의 중심에 있는 핵심적인 생각들을 설명하고 둘째, 진퇴양난 도덕론의 기본인 도덕적 사고가 Haidt가 생각하듯이 매우 제한적이지도 않고 비효율적이지도 않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 필자는 도덕에 대한 이성적 접근이 최근 수십 년간 실천 윤리학 혹은 응용 윤리학 분야를 새로 개척해 왔고, 이 분야의 성과가 Haidt가 인정하는 것보다 윤리의 개념을 더 발전시켜 왔다고 주장한다. 또한 도덕 교육의 궁극적 목표가 올바른 글로벌 시민들을 양성하는 것이라면, 실천 윤리학이 도덕 교육에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his book The Happiness Hypothesis, the moral psychologist Jonathan Haidt provides an interesting critique of current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in certain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t the heart of Haidt’s critique is a distinction between two traditions in ethical thinking in the West: ‘virtue ethics’ and ‘quandary ethics’. While the former approach has deeper historical roots, the latter approach tends to dominate in contemporary ethics debates and moral education. Haidt(2006) claims that this transition from virtue ethics to quandary ethics has been a ‘profound mistake’ for two reasons: first, it limits the scope of morality; second, it relies on rationalist models of the mind that contemporary psychology has shown to be flawed. While Haidt’s objections to contemporary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are not entirely without merit, his critique of quandary ethics is overstated and in need of qualification. In this article I do two things: first, I explain the key ideas at the heart of the two main traditions in ethical thinking in the West; second, I argue against Haidt’s critique of quandary ethics by showing that moral reason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quandary ethics tradition, is not as limited and ineffective as he assumes. I claim that this rationalist approach to ethics has in recent decades given rise to the field of practical or applied ethics and that much of the work in this field reveals a richer and more demanding notion of ethics than Haidt acknowledges. I argue that if the ultimate aim of moral education is to nurture good global citizens, then practical ethics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moral education.

Ⅰ. Introduction

Ⅱ. Philosophical background on the two traditions in ethics

Ⅲ. Haidt’s critique of quandary ethics

Ⅳ. Conclusion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