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40.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과 외 활동’의 성격

The Natu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 29

우리의 교육과정 변천과정을 돌아볼 때, ‘교과 외 활동’(특별활동)은, 교과의 경우와는 달리, 그것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노력이 미흡했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기존의 연구 중에도 교과와 특별활동의 ‘관련’을 탐색한 연구, 그리고 교과와 특별활동의 ‘차이’에 주목한 연구는 나름대로 ‘교과 외 활동’의 성격을 탐색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가 좀 더 완전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교과 외 활동’이 교과와 어떤 점에서 구분되는지, 나아가 이들은 어떤 기제를 통하여 심성함양으로 연결되는지를 보다 명확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 외 활동’의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기 위해서는 랭거(S. K. Langer)가 분석한 상징작용의 두 가지, 즉 추론적 상징작용(discursive symbolism)과 표상적 상징작용(presentational symbolism)의 구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랭거의 분석에 주목할 때, 교과가 추론적 상징작용에 기초한다면, ‘교과 외 활동’은 표상적 상징작용에 토대를 둔다고 말할 수 있다. 개념과 상징이 심성함양의 상이한 매체라면, 교과는 ‘개념’을 통하여, 그리고 ‘교과 외 활동’은 ‘상징’을 통하여 학습자의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한다.

When we examine the change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we come to know that it was not enough to make efforts to look into the natu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unlike into that of school subjects. Of course there are stud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chool subjects, in addition to those to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chool subjects. But if these studies become more perfect, they have to suggest the ground of difference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chool subjects, and the mechanism of the cultivation of mind in each chann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clearl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istinction presentational symbolism from discursive symbolism by S. K. Langer. If school subjects are on the basis of discursive symbolism, it can be said t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on grounds of presentational symbolism. On the basis of Langer s analysis, extracurricular activities can be understood presentational symbolism-centered activities. If concept and symbol are different media(or channels) to cultivation of mind, it can be said that students cultivate their minds through concept in subjects, and through symbol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Ⅰ. 서론

Ⅱ. ‘교과 외 활동’의 성격: 두 가지 관점

Ⅲ. 심성함양의 두 경로: 개념과 상징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