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론은 만물(존재자)에 대하여 그들의 원천(존재)을 탐구한다. 그러나 만물의 원천이라는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교육의 목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것은 주관과 객과의 일치로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될 수 있는 것이며, 우리가 이미 어느 정도는 되어 있고 더 되려고 열망하는 것이다. 한편 만물은 이해된 것이되 더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교육 내용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이상과 같은 주장을 전개하는 교육론적 존재론(존재론적 교육론)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점에서 ‘네 개의 선분’은 ‘세 개의 지평’으로 해석될 수 있다. 메타프락시스는 교육론적 존재론의 방법론적 자기의식으로, 존재론(형이상학)이 단순한 이론이나 단순한 학문(과학)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러나 그것은 일종의 이론이나 학문(과학)으로, 일종의 교육 내용이 되어, 네 번째의 지평을 이룰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Ontology inquires the cause of all things in the world. However, the cause or the source of the things must be understood to be the aim of the education. It is a sort of state which man can reach. It is a very high state. But every one has already reached there, in a sense. It is a unity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t is what we must become, not what we must know. We has become it already and we desire to become more of it. Then things in the world which we experience, must be understood to be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They are what has already been experienced, that is, has already been understood. And they must not cease to be understood. We can say that we must not cease to understood them. If we understand them, we become the cause of them. If we understand them, they become the cause of them in us. Plato’s theory of eidos can be interpreted as the educational theory of being (the ontological theory of education) which propounds above-mentioned (paradoxical) propositions. So the analogy of ‘4 divided lines’ must be replaced by the analogy of ‘3 platforms’. Metapraxis is the methdological self-consciousness of the educational theory of being which attempts to explain that Ontology is not just a kind of theory(science). However it can be a kind of theory(science). And it can be a kind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is a kind of school subject. So it can make the 4th platform.
Ⅰ. 서론 존재론적 교육론과 교육론적 존재론
Ⅱ. 네 개의 선분과 세 개의 지평
Ⅲ. 이데아와 영혼의 일치
Ⅳ. 결론: 프락시스와 메타프락시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