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의 의미는 교사의 ‘권위’가 뒷받침될 때 학생에게 올바로 전달될 수 있다. 피터즈는 교사의 권위를 지적 권위로 한정하면서 지적 권위 확립에 방해가 되는 교사의 인격적 감화력, 즉 모종의 카리스마적 권위를 교육에서 배제해야할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반톡에 의하면, 카리스마적 권위는 교육에서 배제되어야 할 요소가 아니라 교사의 권위의 핵심에 해당한다. 카리스마적 권위에 의해 형성되는 교사와 학생간의 애정적 관계야말로 교육에서 소망해야 할 사태이다. 카리스마적 권위는 교사의 인격에서 비롯된다. 마리땡과 피이퍼의 논의는 각각 카리스마적 권위자의 인격의 원천이 신적인 것에 있다는 사실과 인격이 인간 실존을 통하여 타인에게 힘을 발휘하는 메카니즘을 밝히는 데 기여한다. 기독교의 중보자(The Mediator)의 존재방식은 교사의 존재방식으로서 권위가 신앙과 이성의 문제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authority. Peters and Bantock’s argument on the concept of authority presents a new view on the interpretation of authority. Peters justifies the teacher’s authority in connection with its intellectual aspect. Peters urges that teacher’s charismatic authority, that is, teacher’s personality, is irrelevant in learning and teaching. But Peters’s conception of rational authority involves leaving students alone in indifference, in Bantock’s views. Bantock believes that charismatic authority which enables affective relationship constitutes the core of teacher’s authority, whereas Peters regards charismatic authority as negative element in education. According to Bantock, the charismatic personality of teachers is closely connected to the reality which is embodied in teacher’s existence. Maritain and Pieper put differential emphasises on the source of personality and on the process of personality to communicate, respectively. ‘The Mediator’, the incarnation of God, who reveals the source of personality and the process of actualization of personality simultaneously, presents an alternative view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subject-matter. The Mediator’s existence helps to reveal that teacher’s author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faith’(fides) and ‘reason’(ratio).
Ⅰ. 서론
Ⅱ. 합리적 권위와 교육
Ⅲ. 카리스마적 권위와 교육
Ⅳ. 종교적 권위와 교육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