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46.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사해석학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Paul Ricoeur s Narrative Hermeneutics in the View of Metapraxis

  • 63

메타프락시스는 심성함양이라는 실천을 바로 그 실천 자체에 의하여 설명하는 담론형식이며, 그것은 여타의 교육이론과는 다른 차원에서 교육의 근본물음을 해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메타프락시스가 교육학 연구의 보편적인 ‘담론’으로 소통되고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그것에 붙박혀 있는 심오한 수준의 교육학적 통찰을 ‘특별한 내러티브’의 형태로 들추어내어야 한다. 서사해석학은 리쾨르의 독창적인 ‘미메시스론’에 입각하여 인간의 서사행위의 의미와 가치를 심도있게 밝힌 이론이다. 달리 말하여, 서사해석학은 심성의 형성과 표현의 문제를, ‘이해’와 ‘해석’이라는 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행위인 ‘해석학적 사유’에 입각하여 밝힌 교육이론이다. 서사해석학은 이해와 해석활동으로서의 실천을 바로 그 실천에 입각하여 설명하는 담론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또한 지니고 있다. 메타프락시스가 교육의 실천사태에서 어떤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교육이론으로서의 서사해석학’의 안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 metapractical perspective from Paul Ricoeur s Narrative Hermeneutics. Ricoeur suggested the idea of self- comprehension as the end of hermeneutical understandings. According to Ricoeur, the process of self-becoming cannot be separated from that of text-understanding. Ricoeur s narrative hermeneutics, which is designed for leading students to self-becoming through text-understanding, can shed light on our understanding. Ricoeur explained the possibility of narrated time by the idea of Threefold Mimisis (MⅠ, MⅡ, MⅢ) that has the structure of a hermeneutical circle. In his Mimesis theory, he explored the process of self-becoming by pursuing the three stages of understanding: pre-comprehension, comprehension, and self-comprehension. Self-comprehension in front of the text can be attained not by way of forcing the text to follow the interpreter s limited understanding, but by revealing oneself to the text and receiving extensive self from the text. Ricoeur s concept of self-comprehension can be understood as the end of self-becoming. The term metapraxis , in the sense of practice of practice , may be used to refer to a family of discourses in which the practice is justified and made intelligible only by the practice itself. As long as narrative hermeneutics tries to explain self-comprehension, it may well claim its nature as metapraxis.

Ⅰ. 서론

Ⅱ. 아우구스티누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해후

Ⅲ. 미메시스와 메타프락시스의 관련

Ⅳ. 텍스트 ‘앞에서의’ 자기이해

Ⅴ. 결론: ‘교육해석학’ 연구에 주는 시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