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56.jpg
KCI등재 학술저널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교육의 인식론’

‘Epistemology of Education’ in Hegel s Phenomenology of Spirit

  • 56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헤겔의 인식론은 지식의 개념을 교육의 과정에서 그것이 어떻게 생성되고 발달하게 되는가에 비추어 해명하려는 이론적 시도이다. 이 점에서 그것은 ‘교육의 인식론’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고, 칸트의 비판철학을 정점으로 한 헤겔 이전의 인식론, 이 글의 용어로는 ‘반성의 인식론’과 명백히 대비를 이루는 것이다. 즉, 반성의 인식론에서는 우리가 객관 타당한 인식으로 간주하는 어떤 ‘인식의 사실’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반성함으로써 그것에 비추어 지식의 개념을 해명하려고 한다. 반면에, 교육의 인식론에서는 반성의 인식론에서 제시하는 모든 지식의 관념은 교육의 과정에서 확인되는 ‘마음의 발달계열’에 상응하여 위계를 이루는 경우에만 본래의 의미와 정당성을 보장받는다는 것, 교육의 과정에서 확인되는 진정한 의미의 인식은 ‘개념적 사고’를 핵심으로 하는 ‘이성의 자기인식’이고 이 자기인식의 내용은 ‘정신 수준의 학문체계’라는 것을 해명하려고 한다. 그리하여 헤겔의 교육의 인식론은 반성의 인식론에서처럼 ‘지식’과 ‘지식획득활동’ 또는 ‘지식’과 ‘지식획득과정’을 구분하여 후자를 전자가 전달되는 ‘통로’나 ‘매개체’로 간주하는 경우에는 드러나지 않는 지식의 핵심적 측면, 이를테면 ‘자기검사를 통한 발달’의 측면과 ‘이성의 자기지식’의 측면을 드러낸다.

Hegel s epistemological view is the theoretical approach that is to elucidate the concept of knowledge in terms of education as a self-determining activity(Bildung) in which the concept comes into being and develops its proper meaning and character. In this regard, his epistemological view can be called epistemology of education . In contrast, Kant s view can be called epistemology of reflection . For, it is an approach that is to elucidate the concept by analyzing generally admitted knowledges and inferring their condition of how they are possible, in a regressive but critical way. In this way, it confirms that they can be established only on a pirori condition of Reason(Vernünft) s Idea which is the unknowable beyond them, and then they are valid only on objects within the boundary of experience, not on knowing-subject itself. On the contrary, the epistemology of education is to expose that each of which were determined as object-knowledges by such negative reflection can regain its original identity in terms of mind s sequential hierarchy form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In this exposition, Hegel reviews each of them as a moment abstracted out of the sequence of Consciousness(Bewusstein) developmental movement through self-negation or self-test, returns it into the original state and thereby reveals it as a turning point in the sequence in which it awakens Reason implicit in itself and, through Reason s own conceptual thinking, knows itself as Spirit(Geist). And finally he shows up that the original identity of all the object-knowledges is Reason s self-knowledge of which the content is Spirit s Science(Wissenschaft)

Ⅰ. 문제제기: 인식론과 교육

Ⅱ. 근대 인식론: 반성의 인식론

Ⅲ. 헤겔의 정신현상학: 교육의 인식론

Ⅳ. 결론: 교육의 인식론의 의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