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56.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간행위론

Human Conduct in the View of Metapraxis

  • 38

인간행위론은 학문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지만, 올바른 인간으로 사는 올바른 삶의 의미를 규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와 같이, 올바른 삶의 의미에 관한 이론적 설명, 그 중에서도 특히 듀이의 ‘경험’, 호이징하의 ‘놀이’, 「중용」의 ‘심성’의 개념은 올바른 삶의 의미에 관한 그 나름의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된다. 먼저, 듀이에 의하면, 삶의 다양한 활동들은 지식을 활용하여 예견된 목적을 달성하는 행위로서 의의를 가진다. 그리하여 삶의 목적은 개인에 의하여 점차로 실현되는 것 또는 만들어가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호이징하에 의하면, 우리의 삶의 다양한 활동들은 놀이의 일환으로 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에서의 놀이는 유목적적 행위로부터의 해방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삶은 그 자체로 놀이라는 호이징하의 견해는 그러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실현방도에 비추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중용」은 교과를 통한 심성함양의 과정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호이징하의 견해를 보완할 단서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중용」에 의하면, 교과 공부는 심성을 함양하는 일이면서, 그와 동시에 그 일을 통하여 심성 그 자체를 확립하는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중용」은 ‘실천의 실천’을 뜻하는 메타프락시스를 전형적으로 예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ere can be essays concerning human conduct which is developed and elaborated by various fields of discipline, i.e. psychology, sociology and ethics. But an essay concerning human conduct can have proper place in a doctrine about the true meaning of life of the well-educated person. Seen in this light, Dewey s ‘experience , Huizinga s ‘play and ‘cultivation of the mind a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can be understood as the answers to question which was raised in essays concerning human conduct. To begin with, in Dewey s theory of experience, our daily life is justified by what it leads on to the achievements of practical affairs. Thus, in Dewey, the ideal of the life is to be achieved and made in the daily problem-solving activity. Unlike in Dewey, in Huizinga s theory of play,proper life can be understood as the right pursuit of play. In his idea of the play, Huizinga suggests the view that the play as the non-serious is the criteria by which to judge human activity, leading the mind to the emancipation from utility. In contrast with Huizinga, the theory of education, a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certainly attempts to explicate the cultivation of the mind as the not-yet-manifested(zhong 中, in the parlance of The Doctrine of the Mean)through studying school subjects. Therefore, the educational theory implied in The Doctrine of the Mean, exemplifies the metapraxis to state the cultivation of the mind through studying school subjects is justified in no other way than by the act of the cultivation of the mind itself. Needless to say, essays concerning human conduct must make us look back on our life,which is the very life that the essays intend to explain. Thus, essays concerning human conduct may be, in its true sense, the theory of education.

Ⅰ. 서론

Ⅱ. 경험

Ⅲ. 놀이

Ⅳ. 심성함양

Ⅴ. 결론 : 메타프락시스와 인간행위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