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예술과 교육

Art and Education : An Examination of E. W. Eisner s Curriculum Model

  • 229

본 연구는 이해의 모형으로서의 예술, 다시 말해서 이해를 파악하는 예술적 모형을 탐구하였다. 오늘날 이해(지식, 진리)는 과학적 모형에 입각하여 파악되곤 한다. 그러나 과학적 모형은 주관-객관의 사고방식 ― 주관과 객관을 분리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사고방식 ― 을 따르는 그릇된 모형이다. 예술적 모형은 가다머의 존재론적 해석학과 칸트의 선험적 인식론을 통하여 접근될 수 있다. 이들은 예술과 미에 대하여 연구하지만, 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예술과 미적 경험을 모형(대표적 예물)으로 삼는 이해(인식)의 이론을 수립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이들 두 연구를 종합하여, 해석학적(예술적) 순환과 메타프락시스적(메타-예술적) 순환이라는 두 가지 순환으로 이루어지는 이해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해의 모형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과정 모형은 (또 다른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아이즈너의 모형과 일치하지 않는다. 첫째, 아이즈너는 교육의 목적과 교육 활동을 순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바르게 파악하였으나, 그 교육 활동이 개념 획득 활동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은 간파하지 못하였다. 둘째, 아이즈너는 교육비평이라는 연구법을 제시하면서 교육 연구는 예술로 파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교육 연구는 교육이론을 모색하는 일로 파악되어야 하며, 곧 메타-예술로 파악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예술적 모형은 지식(학생들의 개념 획득 활동 및 학자들의 교육 이론 연구)을 강조하는 의외의 결과를 불러온다. 물론, 그 과정에서 지식(혹은 교육)의 개념 역시 예술의 개념에 의하여 변형된다.

This study enquired for the art as an model of understanding, that is, artistic model of understanding. Nowadays, understanding is conceived by scientific model of understanding, which means that knowledge and truth is also conceived by that model of understanding. However, scientific model of understanding cannnot reflect understanding(knowledge, truth) correctly, for that model follows subject-object dichotomy in which subject and object are regard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tistic model of understanding can be approached from the standpoint of Gadamer s ontological hermeneutics and Kant s transcendental epistemology. Though these philosophers studied art and beauty, their final concern is to establish a theory of understanding which is based on art and artistic experience. This study suggest a model of understanding which is comprised of hermeneutical circle and metapractical circle. This model of understanding gives rise to a model of curriculum. However, this model of curriculum which can be called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is different from Eisner s model of curriculum which is another famous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First, though Eisner catched correctly that educational aims and educational activities are circular, he did not regcogniz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are comprized by concept-formation activities. Second, Eisner propounded that educational study must be regarded as a kind of art. However educational study must be regarded as a meta-art which is not different from metapractice. Artistic model of curriculum begets unexpected results. That model of curriculum recommends knowledge in education (pupils concept-formation activities and scholars study of educational theories).

1. 서론: 교육과정의 모형으로서의 예술

2.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모형

3. 이해의 모형으로서의 예술

4. 결론: 해석학적 순환과 메티프락시스적 순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