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는 그 기능의 측면보다는 본질의 측면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종교는 세속적 삶을 초탈하기 위한 것(초탈의 종교)도 아니요 삶의 다양한 활동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위한 것(사욕의 종교)은 더더욱 아니다. 호이징하에 의하면, 진정한 종교는 놀이의 성격―즉, 유목적적 행위로부터의 해방―에 맞게 추구되는 것(놀이의 종교)이다. 한편, 오토는 종교의 본질을 초합리적인 것으로서의 ’성‘(聖)에서 찾고 있다. 그리하여 오토의 종교이론은 성 그 자체와 그 표현―즉, 종교교리와 종교의식―의 관련을 해명하는 것을 핵심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성과 그 표현의 관련은 성 그 자체를 밝히는 정태적 관점에서보다는 성 그 자체의 실현을 규명하는 동태적 관점에 의하여 더욱 분명하게 밝혀진다고 보아야 한다. 중용에 나타나 있는 종교이론은 이 점을 전형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중용에 의하면, 종교이론은 지식에 의한 성의 실현을 설명하면서 동시에 그 자체가 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곧 종교이론은 심성함양을 위한 실천을 바로 그 실천에 의하여 설명하는 메타프락시스적 담론형식을 띠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이론은 그 자체로 교육이론이며,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교육이론 또한 종교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religion must be justified by the standard immanent in it rather than by what it leads on to. The ultimate reason for any form of religion lies neither in the advantage that it brings man to the other-world nor in the criteria by which to judge the achievements of practical affairs. In Huizinga s theory of play, proper religion can be understood as the right pursuit of play. Like Huizinga, Rudolf Otto found conspicuous feature of religion in the idea of the holy as the non-rational. Otto s theory of religion therefore centers around the relation of the holy to its manifestations as the rational. In his idea of the holy, Otto in effect suggests the view that the holy as the non-rational manifests itself in religious doctrines and rituals. Otto s theory of religion in this sense is seen to represent the static viewpoint of the holy. In contrast with Otto, the theory of religion implied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emphasizes the constant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holy as the not-yet-manifested(zhong 中, in the parlance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its manifestation(he 和), and this means, in the setting of education, the internalization of school subjects for the purpose of leading the students mind to the holy as not-yet-manifested standard. The theory of religion, a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certainly attempts to explicate the realization of the holy through studying school subjects. Nevertheless the theory of religion also leads us to the realization of the holy itself. The theory of religion, therefore, exemplifies the metapraxis to state the realization of the holy through studying school subjects is justified in no other way than by the act of realizing of the holy itself. The theory of religion can have a proper place in educ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theory may be, in its true sense, the theory of religion.
Ⅰ. 서 론
Ⅱ. 삶의 이상과 종교
Ⅲ. 종교와 그 표현
Ⅳ. 종교이론과 교육이론
Ⅴ. 결론 : 종교이론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