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버그의 인지발달적 접근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적 접근’이 등장하였지만, 현대의 도덕교육은 도덕적 원리의 보편성과 현실적 상황의 특수성, 또는 자율적 판단력의 발달과 관례적 덕목의 실천 사이의 딜레마를 해결하지 못한 채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유학의 경권론에서 경과 권의 관계에 관한 한유와 정이 사이의 상반된 견해는 도덕적 표준의 절대성을 확립하는 것과 현실의 도덕생활의 복잡성을 인정하는 것 사이의 딜레마를 선명하게 드러내며, 주희의 경권론은 그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희의 그 방법이 진정한 해결이 되기 위해서는 성리학의 이론체계와 일관된 방향으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 재해석에 따르면, ‘경’은 도의 정상적 표현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도 그 자체, 즉 현실의 사태로 표현되기 이전의 도덕의 표준이며, ‘권’은 현실의 사태에서의 경의 실천적 표현이다. 성리학의 관점에서 도덕교육은 미발의 표준으로서의 심성을 함양함으로써 ‘경’과 일관된 ‘권’이 자연적으로 실천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심성의 함양과 경권의 실천을 위한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원리와 현실적 상황은 딜레마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미발의 표준과 그 실천적 표현이라는 ‘중층’의 방식으로 ‘통합’을 이룬다. 현대 도덕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 또한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Since Kohlberg s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 and the so called integrative approach as the alternative to it, modern moral education has been in the stalemate between development of form and discipline of virtues , in the same line, the dilemma between the university of moral principle and the particularity of actual moral situation. In Jing-Quan Lun (經權論) of Confucianists, the contradiction between Han scholars and Ch eng I on the relation of Jing and Quan shows clearly the dilemma between the request for establishment of absolute priniciple and the need for flexible judgement in actual situation, and Chu Hsi tried to eliminate that dilemma. According to Jing-Quan Lun in the light of the Neo-Confucianist way of thinking, Jing is not confined to manifestation of Tao(道) in normal situation but identical with Tao itself as the unmanifested moral standard, and Quan is considered as its practical manifestation in actual situation. Thus, Neo-Confucian moral education aims at the cultivation of the unmanifested mind and natural manifestation of Jing in every actual situation. Here, the two poles of above dilemma are placed in the two fold structure of mind and this provides an example of true integration of form and content of morality. The right path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can be found in this.
Ⅰ. 문제의식
Ⅱ. 유학의 윤리학 : 경권론
Ⅲ. 주희의 경권론 : 성리학적 해석
Ⅳ. 성리학의 도덕교육이론과 현대 도덕교육의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