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61.jpg
KCI등재 학술저널

도덕교육에 있어서 권위와 권력의 정당화 문제

Justification of Authority and Power in Moral Education : Aristoteles and Kant s Case

  • 86

이 논문은 “도덕교육적 권위와 권력이 어떻게 가능하고 또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탐구과제로 삼는다. 도덕교육의 명령은 한마디로 “도덕적으로 되라!”는 것이다. 그러나 ‘도덕적’이라는 개념과 ‘명령’의 근거와 지향점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교육적 권위와 영향관계 그리고 정당화의 과제가 부과될 수 있다. 이러한 도덕교육론적 논의구조를 보다 명료하게 인식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특히 아리스토텔레스(II)와 칸트의 정당화모델(III)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당화모델은 공동체 및 영혼이라는 목적론적 지배질서에 근거를 두고 그것에 대한 합목적적인 기여의 정도에 따라서 교육적 영향관계를 정당화하는 길을 선택한다. 그 반면에 근대의 탈-목적론적인 세계관에서 출발하는 칸트의 자율성 중심의 정당화모델은 교육적 영향관계가 정당화될 수 없는 조건을 밝히는 것, 즉 소극적 정당화의 길을 선택한다.

This paper makes it to its main theme, to examine the question how to make thinkable and justify the authority and the power in moral education . To express the request of moral education in a word, it might be summarized as be moral! . All may be in agreement at this abstract level of formulation. But many different ways of justifying the authority and power in moral education are enough conceivable especially relating to the question, how the concepts of moral and command are to comprehend. To make it clear, it is here to examine the Aristoteles model of justifying moral request(II) and Kant s(III). The Aristoteles model of justifying the moral request is based on the teleological orders of society and soul, so that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n young person are to justify according to its appropriateness to the presupposed ends. Owing to the teleological justification Aristoteles has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methode to the presupposed ends. On the oder hand, Kant s model is based on the concept of autonomy. All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young person could be permitted and justified, only if they drive its origin from the autonomy of students and take aim at the autonomous person. This model enables us to overcome the teleological order of the world, but at the enormous expense.

Ⅰ. 도입 : ‘도덕교육론’의 질문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정당화모델

Ⅲ. 칸트의 교육실천 내재적 정당화모델

Ⅳ. 요약 및 결론 : 해석학적 모델의 가능성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