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62.jpg
KCI등재 학술저널

루소의 ‘소극적 교육’의 의미

The Meaning of Negative education in Jean-Jacques Rousseau

  • 352

이 연구의 목적은 루소 교육이론을 대표하는 ‘소극적 교육’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소극적 교육에 관한 종래의 해석은 ‘아동기에’ 사회와 교사의 개입을 최소화한 채 물리적 사물에 대한 접촉만을 제공하는 교육적 조치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달이론적 해석에 의하면, 자연(본성)은 오로지 물리적 대상세계이거나 아니면 우리가 가지고 태어나는 천부적 소질을 뜻하게 되고, 소극적 교육은 청년기 이후의 교육(즉 사회에 입문하기 위해서 도덕적 질서를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교육)과 대비해서 부차적인 지위로 전락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루소의 교육이론은 인간의 본성이 마치 자연과 사회, 아동기와 청년기에 각각 상응하는 서로 다른 본성으로 구성된 것인 양 가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적 해석은 자연(본성)이라는 개념을 목적론적 의미로 받아들이고 소극적 교육을 해석하는 것이다. 사실, 자연(본성)이라는 개념에 부여하는 루소의 또 다른 의미는 스토아학파, 더 거슬러서는 플라톤에게 이르는 목적론적 개념이다. 자연은 단순한 물리적 대상들의 집합이 아니라 신적 존재의 자기창조적이고 유목적적인 활동의 산물인 것이다. 자연에 따라 산다는 것은 바로 이 우주의 합리적 원리에 따라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런 신적 질서로서의 자연은 직접 마주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의미의 자연은, 마치 신이 있어서, 모종의 섭리를 가지고 세상을 창조하고 보존해나가는 것인 양, 우리의 마음과 사회를 포함해서, 우리의 세상을 질서정연한 세계로 만들고 이해하도록 격려하는, 소극적 기준이자 목적이 된다. 이 점에서 소극적 교육, 즉 자연을 따르는 교육은, 단순히 아동기에 적용되는 교육방법이나 발달단계적 고려가 아니라, 낱낱의 가르침, 낱낱의 훈육이 학생의 마음 안에서 질서정연한 체계를 이루도록 하고자 하는 교사의 노력들, 그 이면에 들어있는 논리적 가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Rousseau s negative education . It has been proposed that negative education is the educational plan which, especially in childhood, restricts the child to contact only the world of nature, and eliminates any social or teacher s influences. This is the developmental interpretation of negative education. Nevertheles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nature only means the physical world of nature or the natural endowment in human being and the negative education is secondary to adolescent education(that is, the positive moral education for social being). Moreover, Rousseau s educational doctrine presupposes two conflict human nature, each corresponding to natural world and society or to childhood and adolescent. But there is the another meaning attached by Rousseau to the term nature . It is a teleological one, inherited from the Stoics who in turn derived it from Plato. Nature or the universe is governed by the Divine providence which is self-creative and purposive. To live according to nature is to live in accordance with the rational principle of the universe. It must be stressed, however, that nature as the Divine order of universe, by virtue of not being manifested, is not an object for anyone to encounter , but a negative standard or purpose that encourage us to understand and make our world, including our mind and society, well-ordered universe, as if the God creates and preserves universe with providence. Education according to nature as negative education is not merely a pedagogical device for childhood or a psychological implication for child caring but a presupposition which lies in every teachers instructions and disciplines which makes the Divine order into child s mind as well as into child s environment.

Ⅰ. 서론

Ⅱ. 발달이론적 해석: 사회 아닌 자연

Ⅲ. 두 가지 본성과 교사의 위치

Ⅳ. 목적론적 해석: 혼돈 아닌 자연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