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62.jpg
KCI등재 학술저널

돈점논쟁의 재해석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 12

돈점논쟁은 돈오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만큼, 돈오를 해오와 증오로 구분하여 이해한다면, 논쟁의 쟁점은 상당 정도 해소될 수 있다. 해오는 수행의 과정에서 생기는, 이해에 의한 깨달음이며, 증오는 완전한 깨달음으로서 수행의 최종상태, 즉 수행의 의미를 나타낸다. 점수와의 관련에서 해오는 수행의 한 가지 방법이 아니라 점수의 이면에 위치한 수행의 기준이다. 한편 해오는 증오를 시간계열에서 구현함으로써, 해오와 점수의 관련을 점수와 증오의 관련으로 해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증오는 점수를 통하여 알려지며, 점수의 정도만큼 확립된다. 이 점수와 증오의 관련은 수행의 행위가 수행의 목적을 확립하는 행위임을 드러내는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을 정확히 예시한다. 교육이 도덕적 인간을 기르는 일을 목적으로 하고, 도덕적 인간을 기르는 것과 심성의 함양이 다른 일이 아니라면, 교육은, 불교의 수행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심성함양 활동, 즉 교과를 가르치는 일을 통하여 심성을 함양하게 된다고 말할 수 있다.

The Sudden and Gradual Debate originated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udden enlightenment differently. Therefore, if sudden enlightenment is distinguished into understanding-enlightenment and realization-enlightenment, the issue of the debate will be reduced to a considerable extent. On the basis of distinction between understanding-enlightenment and realization-enlightenment, understanding-enlightenment is understood not as a way of cultivation but as a criterion of cultivation, which can not be separate from cultivation itself. Meanwhile, as understanding-enlightenment is embodiment of realization-enlightenment in the phenomenal world, it provides the foundation of interpreting the relation between understanding-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s the relation between gradual cultivation and realization-enlightenment. Realization-enlightenment is revealed by gradual cultivation, and established so much as gradual cultivation is accomplished. This relation between gradual cultivation and realization-enlightenment illustrates the viewpoint of metapraxis , in the sense of practice of practice , in which the purpose of practice is established only by the practice itself. If education aims at cultivation of morality, and if cultivation of morality is not different from cultivation of the Mind-Nature , it is possible to say that education, along with Buddhist cultivation, cultivates the Mind-Nature by teaching school subjects.

Ⅰ. 서론

Ⅱ. 깨달음의 두 차원: 해오와 증오

Ⅲ. 깨달음과 점수의 관련

Ⅳ. 도덕교육에서의 돈점문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