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論語」爲政篇에 나와 있는 ‘君子不器’가 오늘날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막스 베버는 근대 중국에서 왜 자본주의가 성립되지 않았는가를 문제 삼고 그 원인이 중국인의 가치관을 지배해 온 군자불기에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자본주의의 필수조건인 전문 직업인이 되는 것을 거부하는 군자불기 사상은 자본주의적 가치관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君子不器는 직업인이 되는 것을 부정하는 말이 아니라 직업에 국한지어 자신의 존재의의를 온통 용도로 규정하는 현대인들에게 직업으로 삶을 영위하지만 동시에 그것을 초월하는 삶이 어떤 것인지, 그 일이 얼마나 가치있는가를 성찰해 보도록 요구하는 말이다.
Max Weber put a question why capitalism did not be originated in modern China. According to his point of view, compared to the Occident, the varied conditions which externally favored the origin of capitalism in China did not suffice to create it. He considered Confucius words- the cultured man was not a tool (君子不器)- as its cause. He criticised that this core of Confucian ethics rejected professional specialization, modern expert bureaucracy, and special training; above all, it rejected training in economics for the pursuit of profit. But the words- the cultured man was not a tool- does not mean a denial of the value of professional specialization. It means that man should not be restrict himself within a vocational expert, and that the value of human exists in the transcendence of one s vocational boundary and his life as a tool. We have man rise above his vocational limit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 Confucian ethics as found in the cultured man was not a tool can be the ultumate and the fundamental value in education.
1. 서론
2. 군자불기에 대한 비판: 막스 베버의 관점
3. 공자의 삶에 비추어 본 군자불기의 의미
4. 결론 : 군자불기의 현대적 의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