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65.jpg
KCI등재 학술저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Plato and Aristotle: Morality as the Meaning of School Subjects

  • 272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의 성격을 규정하고 교과와 도덕의 관계를 파악하는 면에서 근본적인 입장 차이를 보인다. 플라톤은 도덕의 의미를 마음의 ‘본체(‘선의 이데아’) 수준에서 규정하려고 하는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마음의 ‘표현’(‘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선’)에 수준에서 규정하려고 한다. 이론적 지식의 탐구가 도덕성의 형성(이데아의 구현)을 위한 실천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보는 플라톤의 입장과는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이론적 지식과 도덕적인 삶의 관련을 부정하며, 교과의 전수를 통한 도덕성 형성의 가능성을 배제한다. 이것은 도덕의 의미를 통념 수준에서 규정하는 사고방식의 필연적인 귀결이다. 플라톤의 윤리학은 도덕의 의미를 이념 수준에서 설명하려는 시도로서, 이념의 구현을 위한 소크라테스의 실천이 어떻게 그 소임을 다하는가를 드러내어 보이는 대화편의 저작술을 통하여 도덕교육의 실천으로 연결된다. 플라톤 윤리학의 의의는, 윤리학은 그 자체로서 도덕교육의 이론이라는 것을 훌륭하게 예시한다는 데에 있다.

Plato and Aristotle have been regarded as the founders of western tradition of ethical thought. In spite of his original debt to Plato, Aristotle had developed his own ethical theory differentiated irrevocably from his master s. Aristotle confined the meaning of morality to the good attainable for human beings, whereas Plato related it to Idea of the Good as the unattainable reality. The salient feature of Plato s ethical doctrine is the unity of knowledge and morality which implies that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guarantees moral cultivation. Being a contrast to it, Aristotle presented the doctrine that morality(moral virtues) is to be acquired from habitual practice, so that teaching theoretical knowledge cannot be conducive to the acquisition of moral virtues. His theory of ethics and moral education is consequent on the commonsensical view of morality which excludes the transcendental reality as presupposed and pursued in Plato s ethical theory. Plato s ethical theory can be seen as an effort to establish the moral metaphysics through his authorship by virtue of which he showed how the Socratic dialogue could accomplish its mission. It means that the proper ethics consists in the metapractical theory of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will have its proper place in school curriculum, if and only if we are made awakened to the recognition that ethics is to be identified as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that explicates how school subjects lead the students to for moral perfection and the subject is a most effective means for teaching ethics as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Ⅰ. 서론

Ⅱ. 지식과 도덕의 관계

Ⅲ. 도덕의 의미:이념과 현상

Ⅳ. 결 론:윤리학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