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66.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치-교육적 시각에서 바라 본 지방자치와 교육과정

Local Autonomy and the School Curriculum : From the Politico-Pedagogical Perspectives

  • 15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제에 있어서의 지방자치’라는 주제를 다룸에 있어서, 그 주제를, 지방자치라는 큰 주제의 일부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이라는 큰 주제의 일부로 취급하여, 먼저 교육과정이론을 논의한 후에, 그 논의 안에 들어 있는 지방자치의 원리를 뽑아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검토한 것은 ‘실제’에 관한 이론이며, 더불어 다룰 수밖에 없는 ‘이론’에 관한 이론이다. 허스트 등은 합리주의를 비판하면서 실제의 개념을 천착하여 학교의 교육내용을 실제로 규정한다. 그러나 그가 합리주의를 비판한 것은 올바르다고 할 수 있지만, 학교의 교육내용을 실제로 규정한 것은 그렇지 않다. 허스트 및 맥킨타이어 등이 천착하여 드러낸 실제의 개념 자체에도 결함이 있다. 이들은 개별적 실제들을 묶어 주는 ‘실제 그 자체’를 결여하여 개별적 실제들을 실체화하며 그 점에서 실제주의자라고 불릴 수 있다. 오우크쇼트와 성리학은 실제를 온전하게 파악할 뿐 아니라 이론도 온전하게 파악하여 이론의 교육적 의미를 확인시켜 준다. 개별적인 이론적 활동들 너머에는 ‘이론 그 자체’(理)라고 불릴 만한 것이 놓여 있는데 이것은 ‘실제 그 자체’(性)와 별개가 아니다. 실제에 관한 통찰은 학교의 교육내용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의 교육방법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한다. 과학과 같은 이론적 활동도 실제의 하나이다. 과학 교사는 과학 연구를 실행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여기에서 ‘자율’과 ‘참여’의 의미가 시사된다.

Local autonomy in the problems of the school curriculum can be approached from two distinct and conflicting perspectives. The political perspective, which is one of them, proceeds from politics to education, that is, from the principles of local autonomy to the problems of the school curriculum. However, this study does not accept that approach. This study accepts politico-pedagogical perspective which proceeds from education to politics, that is, from theory of curriculum to the principles of local autonomy. P. H. Hirst converted to the practicalism . The practicalism is the antithesis of the rationalism. The practicalism studies social practices carefully and criticizes rationalism. Rationalism does not catch the point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which practicalism catches (only) in their own way. Rationalism must be criticized and refuted. However, Practicalism must be criticized and refuted, either. Practicalism defines school curriculum as practices. They think that the school curriculum must not be defined as knowledge any more. This thought stems from the misconception of practices of which A. MacIntyre must be blamed. M. Oakeshott and Neo-Confucianism have another conception of practices which is more accurate and profound than the practicalists . They have an accurate and profound conception of theory or knowledge, too. Their theory about the theory and the practice teaches us that the school must teach theory or knowledge,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practices. The point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contents of the school education. The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methods of the school education. Theorizing is a kind of practice. Scientific study, for example, is a kind of practice. So science teachers must practice scientific study, which their pupil-apprentices immitate in the classrooms. Their practices include their own personality and their practices are examples of scientific tradition. These two point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of autonomy and participation which are principles of local autonomy.

Ⅰ. 서론

Ⅱ. 실제

Ⅲ. 실제주의

Ⅳ. 이론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