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일상적 패러다임은 ‘나는 x를 안다’는 명제로 표현된다. 이 패러다임에서 ‘나’는 인식의 주체를 나타내며 ‘x 는 그 대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콜링우드의 분석에 의하면, ‘나는 x를 안다’는 명제로 표현되는 지식 속에는 ‘나는 내가 x를 안다는 것을 안다’는 명제로 표현되는 지식이 포함되어 있다. 이 두 번째 패러다임에서 중요한 것은 인식의 주체도 ‘나’이고 그 객체도 ‘나 자신’이라는 점이다. 이성은 외적 대상(x)에 대한 인식을 가지기도 하면서, 또한 그러한 대상인식을 통하여 자기인식을 가지기도 한다. 콜링우드 철학이론을 특징짓는 ‘중첩’과 ‘위계’의 개념은 대상인식과 자기인식은 별도의 실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아래위로 겹쳐져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구분된다는 것, 즉 자기인식은 대상인식의 목적이자 대상인식이 그 의미와 타당성을 부여받는 기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과교육은 대상에 대한 보다 분명하고 깊은 이해를 가져다주는 일이기도 하고(대상인식), 학습자의 마음이 자기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갖도록 하는 일이기도 하다(자기인식). 지식을 통한 마음의 발달은 그 자체로서 ‘더 나은 인간’이라는 도덕적 인간의 형성과 직결되며, 이 점에서 도덕적 삶과 도덕적 인간의 형성은 비단 도덕과 교육의 전유물이 아니라 교과교육의 몫이기도 하다. 또한, 거꾸로 말해서, 지식의 문제를 정당하게 취급하지 않은 채 도덕교육의 문제를 취급하는 것은 도덕교육이론으로서는 그야말로 사상누각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R. G. Collingwood s theory of philosophy put forward mainly in his work An Essays on Philosophical Method(EPM; 1933) and Speculum Mentis(SM; 1924). Knowledge generally takes the propositional paradigm of ‘I know x’, in which I and x cannot denote an identical substance at the same time. ‘x’ denotes an object external to the knowing subject ‘I’. But, according to Collingwood s analysis, the proposition ‘I know x’ implies the proposition ‘I know that I know x’, which is a self knowledge. Knowledge in this way implies self knowledge, and self knowledge is a more developed form of knowledge in the sense that it overcomes the abstract character of ‘object knowledge’. Collingwood s view of knowledge in this sense can provide the idea of teaching a subject with the philosophical basis necessary for the explanation of the development of mind through knowledge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self knowledge is possible wherever teaching a subject occurs. The development of human mind consists of the development of self knowledge, and there is no other way of developing the mind except knowledge education. In this respec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moral actions plays an important part in moral education. In a word, any theory of moral education indifference to the knowledge acquisition is a house on sand.
Ⅰ. 서론
Ⅱ. 지식의 두 차원
Ⅲ. 지식을 통한 마음의 발달
Ⅳ. 교과교육의 도덕교육적 의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