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自得’의 개념에 비추어 본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理解

The Meaning of Understanding as Aim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Self-Integration (Tzu-Te)

  • 16
153872.jpg

自得은 인간이 접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아무런 구분이 없는 형태로 한꺼번에 압축하고 있는 이상적인 경지를 가리킨다 .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할 절대적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이 경지 이외에 다른 것일 수 없다. 그러므로 이 경지에 이른 사람이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생각과 말과 행동은 언제나 사리에 맞게 된다. 경전공부가 지향하는 이러한 이상적인 경지는 그것을 방법의 측면에서 규정하는 격물치지론에 의하여 일종의 필연성을 띤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교과교육의 목적으로의 이해는 원칙상 자득이 나타내는 그러한 이상적인 경지 이외에 다른 것으로 파악될 수 없다. 말하자면, 이해는 학습자가 교과의 내용을 배우는 과정에서 그 속에 들어있는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형식을 자신의 마음으로 만드는 이상적인 경지를 가리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meaning of under standing as aim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self-integration . Self-integration used in Neo-confucianism means the ideal state in which all things are inclu ded without distinctions. The ideal state is absolute norm which every human beings should follow. So arriving at the ideal state has been the fundamental aim of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If someone reach the state, each of his/ her thou ghts, speeches, and behavior s is always reasonable, valid and collect, because that is a manifestation of the absolute norm. The process of arriving at the self-integration is explained by the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 knowledge . According to the theory, the process is possible locally throu gh transaction between mind of student and confucian classics. So, the theory make us accept the self-integration as the ideal state of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necessarily. Though there is difference between confucian classics and school subject in details, the ideal states of them is never difference. Thus, the understanding which is reached through the learning school subject is elaborated this ideal state, the aim of education must be recognized as the under standing as self-integration. Consequently, understanding as aim of education is specified the ideal state which is acquired the form of school subject as absolute norm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content.

Ⅰ. 서론

Ⅱ. 이해의 동양적 개념으로서의 自得

Ⅲ. 자득의 방법으로서의 格物과 致知

Ⅳ . 自得의 개념에 비추어 본 이해의 의미

Ⅴ .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