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76.jpg
KCI등재 학술저널

프뢰벨의 교육이론과 칸트철학

Froebel s Theory of Education in Relation to Kant s Philosophy

  • 118

프뢰벨의 교육이론은 칸트철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살펴볼 때 보다 정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칸트가 한 일, 즉 지식이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論理的으로 分析하여 해명하는 일은 인간이 어떻게 지식을 가지게 되는가 하는 문제에 관하여 事實的으로 記述하는 일로 번역 가능하다. 칸트는 철학자인 만큼 知識獲得의 論理的 假定을 밝혀내는 데에 관심을 두었을 뿐, 시간 계열을 따라 일어나는 知識의 獲得過程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프뢰벨은 칸트철학의 핵심개념인 純粹 形式 (아프리오리)을 人間의 形成이라는 구체적인 문제로 풀어서 교육적 삶 의 과정으로 기술하고 있다. 요컨대, 프뢰벨의 교육이론은 칸트철학이 知識의 獲得에 관하여 다루고 있는 문제가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에 연결되는지를 가장 세부적인 수준에서 보여주고 있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에 비추어 보면, 칸트의 순수형식 은 인간의 형성과 관련하여 파악할 때에는 인간의 마음이 지향해야 할 目的(또는 基準)의 의미뿐만 아니라 인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動因의 의미도 들어 있다. 프뢰벨의 神性은 순수형식 의 이러한 이중적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神性은 언제나 지식의 획득과정 속에 있으며 理想的基準으로 작용한다. 또한 이상적 기준으로서의 신성은 지식의 획득과정 속에 작용하면서 힘을 발휘한다. 이 신성이 발휘하는 힘에 의존하여 교육이 일어난다. 말하자면 神性은 교육을 일으키는 원인 으로 작용한다. 또한 프뢰벨은 神性은 아이에게 처음부터 갖추어져 있는 마음이라고 말함으로써 神性에 시간적 이전 의 의미를 강하게 부여한다. 그 이유는 교육이 디디고 있는 基盤이 무엇이며 어디로 향해야 하는가 하는 교육의 目的을 제시하기 위한 프뢰벨 자신의 敎育的 考慮때문이라고 보아야 한다. 프뢰벨은 神性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치밀한 논리적 분석의 산물인 순수형식 을 교육의 出發點과 교육의 指向點에 동시에 위치시킨다. 더 나아가 프뢰벨은 神性을 아이가 갖추고 태어나는 마음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즉, 시간상 이전에 위치시킴으로써 결국 교육의 원인 은 안 에 있다는 점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Froebel s theory of education in relation to Kant s philosophy. The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of Froebel s theory of education to Kant s philosophy help to understand not only Froebel s but also Kant s. The problem of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in Kant s philosophy is the clarification of the ultimate presupposition of it. But Froebel is clarifying the problem in the light of actual process. In short word, Froebel s theory of education is concrete embodiment of Kant s philosophy. The principal feature of Kant s philosophy consist in the logical analysis of knowledge acquirement. But inasmuch as Froebel was educator, he transformed Kant s philosophical concept into educational one. The ultimate meaning of divine nature can be made clear in view of the concept of Kant s a priori.

Ⅰ. 서론

Ⅱ. 지식획득에 관한 논리·분석적 접근

Ⅲ. 지식획득에 관한 사실·기술적 접근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