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중과제를 활용한 노인인지기능 선별검사 개발
Development of Dual-task Based Cognitive Function Screening Test for the Elderly
- 곽호성(Kwak, Ho-Soung) 유은영(Yoo, Eun-Young) 박혜연(Park, Hae Yean) 이서현(Lee, Seo-Hyun) 한대성(Han, Dae-Sung) 박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9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1
- 69 - 81 (13 page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기능저하 노인을 선별할 수 있는 이중과제를 활용한 노인인지기능 선별검사를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경기도 및 충청도에 있는 지역사회 기관에서 60세 이상 노인 229명을대상으로 개발된 Y-DuCog(Yonsei Dual Task Cognitive Screening Test)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인지기능저하 노인의 분류 기준점을 확인하였다. 결과 : MMSE-K, MoCA-K와 Y-DuCog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Y-DuCog의 이중과제 효과와 이중과제초당 정답 수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적 일치도 분석 결과 이중과제 효과와 이중과제 초당 정답 수의Cronbach’s-α 값은 각각 .848(p<.01), .916(p<.01)의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ICCs가.969∼.996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별기준점은 총 수행시간 DTE에서 31.76초를 기준으로 88.7%의 민감도와 83.5%의 특이도를, 총 이중과제 CRR에서 0.38개를 기준으로 84.5%의 민감도와 76.6%의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Y-DuCog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Y-DuCog는 기존 지필 평가의 제한점인 교육수준과 문자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간편하고 빠르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어 노인의 인지기능 평가 및 중재 방법에 대한 효과성 검증 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Yonsei dual task cognitive screening test (Y-DuCog) for the elderly. Methods :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Y-DuCog (Yonsei Dual Task Cognitive Screening Test) was developed by 229 elderly people aged over 60 years from community organizations at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from May 2019 to August 2019.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were presented. Results :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MSE-K, MoCA-K and Y-DuCog were a correlation between the DTE and CRR of Y-DuCog. As a result of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α values of DTE and CRR showed .848 (p<.01) and .916 (p<.01), respectively.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high. The screening point showed 88.7% sensitivity and 83.5% specificity at 31.76 seconds in total DTE, and 84.5% sensitivity and 76.6% specificity at 0.38 in total dual-task CRR. Conclusion : This study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Y-DuCog.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education was not a barrier to the undertaking of this test. Furthermore, the test could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It is also expected to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methods in the elderl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