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신문 광고 윤리성에 대한 전문가와 이용자의 중요도 인식 격차 연구
A Study on Expert and User s Perception on Degree of Importance Regarding Ethics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ing
- 홍문기(Hong, Moon-Ki) 최홍림(Choi, Hong-Lim) 김봉철(Kim, Bong-Chul)
- 한국광고PR실학회
- 광고PR실학연구
- 제13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1
- 215 - 249 (35 pages)
인터넷신문 광고의 윤리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들은 우선 인터넷신문 광고 내용과 형식에 대한 심의 기준이 되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자율규약과 시행세칙을 바탕으로 인터넷신문 광고에 대한 인식을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신문 광고의 윤리적 성격을 도출하고, 인터넷신문 광고에 대한 윤리적 성격에 대한 인식이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선정적/자극적/폭력적 인터넷신문 광고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봤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터넷신문 광고의 윤리적 성격에 대한 전문가와 이용자 간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 향후 심의와 규제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제안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인터넷 신문광고의 내용적/형식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인터넷신문 광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인터넷 광고 산업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o examine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researchers first studied the recognition system of experts and users on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based on the Internet Newspaper Commission s self-regulation and enforcement rules, which are the criteria for deliberation on the content and format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derive ethic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that can rationally/effectively identify each perception gap, and to analyze how they are related to sensational/aggressive/violent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in which the perception of ethic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is indiscriminately. Through this, researchers would like to specifically propose in which direction future deliberations and regulations should be made in light of their perception of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This approach could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advertising due to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 content/format problems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ing and help develop the Internet advertising industry based on national trust in the Internet advertising industry in the future.
서론
문헌연구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논의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