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이용자의 확증편향과 설득지식 수준이 가짜뉴스 허구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 of Users Confirmed Bias and Level of Persuasion Knowledge on How to Judge the Falsity of Fake News

  • 300

본 연구는 이용자의 확증편향과 설득지식 수준이 가짜뉴스 허구성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정량적 방법으로 브랜드에 대한 가짜뉴스를 통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제품에 대한 브랜드 동일시에 따라 가짜뉴스 허구성 판단은 중요도와 신뢰도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두 번째 브랜드 동일시에 따라 뉴스정보원 브랜드에 대한 평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는 브랜드 동일시에 따라 뉴스정보원, 브랜드 평가에 영향을 주었다. 네 번째는 브랜드 동일시에 관계없이 추가 정보확인 가능성과 뉴스 확산 가능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적 방법에서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을 언론사, 홍보담당자, 학계를 통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짜뉴스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심각하며, 이를 확산하는 것은 SNS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디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이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신뢰를 위해 가짜뉴스 근절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users positive bias and level of persuasion knowledge can influence the judgment on the falsity of fake news.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o begin with, we found out several meaningful results through examining the fake news to brand in a quantitative way. Firstly, the identification with product brand affected, even 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judgment on the falsity, importance and reliability of fake news, Secondly, it was shown that brand identification had influence on the evaluation to the brand which was a news source. Third, the brand identification affected the level of persuasive knowledge. Forth,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additional information check and news dissemination regardless of brand identification. The finding from the in-depth interview with media reporters,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an academic researcher was as follows. It was discussed that the social problem originated from fake news is serious and its spread is done mainly through SNS, as well as media education is required for settling the problem. Lastly, they suggested that in order to acquire the media credibility, the measures to root out fake news should be come up with.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quality methods for fake news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