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습지교육의 정규교과 채택

Adoption of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eir Research Trends and Topics

DOI : 10.17663/JWR.2020.22.4.257
  • 35

본 연구는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습지교육에 대한 전 세계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를 파악하였다. 습지연구동향분석을 통해 과거 습지교육은 습지에 대한 태도와 우리가 가져야할 인식에 대해 연구하다가 최근에는 습지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강조하는 주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2년까지 람사르협약에 가입한 국가 중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18개국이었는데 2020년 8월 기준 42 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습지에 대한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과학정보와 지식의 격차가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적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단위 또는 학교 단위로 습지교육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 answer whether it is proper to adopt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and topics on wetland education and identified cases of adopting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Analyzing trends and topics on wetlands resulted in a recent shift of the focus of wetland education from the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wetlands to the ecological functions and ecosystem services that wetlands provide. In 2002, 18 Contracting Parties of the Ramsar Convention had adopted wetland education in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As of August 2020, the number has increased up to 42 countries. The globally increased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wetlands seems to have led the positive change. Most of the cases analyzed and reflect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rricula were designed and applied not nationally but locally or school basis for efficiency.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