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시설원예 단지의 친환경적 조성 계획의 새만금지역 적용 연구

Eco-friendly Design of Horticultural Complex through Application of Saemanguem Areas

DOI : 10.17663/JWR.2020.22.4.225
  • 11

농업경관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중요 공간으로 평가받지만 시설원예단지 조성은 환경적, 생태적 문제점이 보고되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원예단지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조성하여 지속가능 농업에 기여하고자 진행되었다. 시설원예단지의 친환경적 조성을 위한 계획 요소는 문헌과 전문가 설문으로 도출하였다. 이후 계획요소를 적용하여 마스터플랜과 조감도를 새만금지역에 적용하였다. 기능향상을 위한 투입요소 선정과 배치방법을 분석 한 결과 저류지, 습지, 인공저장 시설, 녹지공간, 수로를 경관과 어울리게 배치하고 건폐율은 55%로 적용하도록 제안받았다. 전문가들에게 제안받은 생태계서비스 기능 향상방안을 적용하여 최종 조감도를 작성하였다. 최종 조감도에는 수질정화시설, 습지와 수로 연결, 투수포장, 녹지 연계 등을 반영하였다. 연구결과는 시설원예 친환경적 조성에 대한 정책 및 예산배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국가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전에 이바지 하여 지속가능한 농업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gricultural landscape is considered an important space to provide service functions, but the reality is that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are being reported in the creation of a facility horticulture complex.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agriculture by creating a more eco-friendly facility horticultural complex. The elements of planning for eco-friendly development of the facility horticultural complex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and expert surveys. The master plan and the bird s-eye view were then applied to the Saemangeum area by applying the planning elements. After analyzing the method of selecting and deploying input elements for improving functions, it was suggested that low-flow areas, wetlands, artificial storage facilities, green spaces, and waterways should be placed in harmony with the landscape and that the building-to-land ratio should be applied at 55%. The final design was prepared by applying the ecological service function improvement plan proposed by experts. The final bird s-eye view also reflected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connection of wetlands to waterways, packing of pitchers, and connection of green are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and budget allocation for the eco-friendly creation of horticulture facilities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agriculture by contributing to national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1. 서 론

2. 조사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