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eachers’ Perception o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교육과학연구
- 제22권 제3호
- : KCI등재
- 2020.08
- 29 - 52 (24 pages)
이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 실행 실태와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265명, 중학교 과학 교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강조 사항으로 인해 과학 수업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과학 수업을 통해 과학 교과 역량이 길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탐구 활동이 적절하고, 과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을 충실하게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통합 단원 구성의 적절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단원마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한 것이 과학과 교육과정 이해, 과학 수업 및 평가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초·중학교 교사들은 실험 수업과 관련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고, 교수·학습과 관련된 자료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 실험 수업과 관련된 지원을 하고,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ubject of survey was 26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39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5 teacher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due to the empha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ositive changes were seen in science classes, and science core competencies we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science classes. In addition, the inquiry activities were faithfully conducted in the science classes, and positive responses were given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gration unit. It was generally perceived to be useful for the present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Notes’ and ‘Assessment Methods and Not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many difficulties doing experimental classes, and there are many request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ienc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related to experimental classes and the various material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