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어권의 음악교육론 교재에서 음악교육철학을 어떻게 소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북미권의 대표적 세 문헌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음악교육의 철학적 근거를 설명하고 있는 부분의 구조와 주요 내용을 비평적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음악교육의 기초와 원리들』은 하나의 논술 형태로 상징적 경험을 포괄하는 미적 교육을 학교 음악교육의 당위성 옹호에 활용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음악교육의 기초』는 관념론, 경험론, 실용주의와 같은 일반적 철학의 논제들을 음악교육 현장에 접목시켜 소개하면서도 미학적 기초들은 음악교육철학과 분리하여 다루고 있다. 『현대 음악교육』은 미국 음악교육의 역사와 연계하여 공리적 관점, 미적 철학, 그리고 실천적 철학이 대두되었음을 소개한다. 하지만 세 교재 모두 음악교육 자체의 철학을 내세우는 데는 한계를 보인다. 그나마 철학적 견지를 전체의 논의에 일관되게 적용하고 있는 문헌은 첫째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compare philosophical foundations in representative universit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and highlight their characteristics. Upon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relevant chapters,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insists on adhering to aesthetic education, including symbolic experience to advocate school music education. In contrast, Foundations of Music Education introduces conventional argumentation such as rationalism, empiricism, and pragmatism, illustrating how to apply them to music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describ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topics in American music education. However, only the first one asserts a philosophical frame for a coherent explanation across the whole book board.
Ⅰ. 들어가며
Ⅱ. 현상적 고려
Ⅲ. 철학적 근거의 내용
Ⅳ. 종합적 조망
Ⅴ. 나오며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