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254.jpg
SCOPUS 학술저널

음악창작의 문화 비교를 위한 예비연구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Music Composition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 Pilot Study

DOI : 10.30775/KMES.49.4.53
  • 147

본 예비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음악창작 결과를 분석하여 음악창작에 대한 문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32명의 한국학생들과 35명의 미국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간 창작 지도를 하고 MuseScore2를 이용하여 8마디 가락을 창작하게 하였다. 합의적 평가기법(CAT)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두 나라 간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창의성에서 높은 점수와 낮은 점수를 받은 작품들을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 창의성이 높은 그룹은 다양한 소리 선택, 발전과 대조, 구조화 등의 특징을, 그렇지 않은 그룹은 제한된 소리 선택, 단순함/반복의 특징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미 있는 친숙한 선율의 사용은 한국 창의성 점수가 낮은 그룹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이었다.

In this pilot study, we cross-culturally examined notation-based music compositions of upper-level elementary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he U.S. using the ratings of judges from both countries. Research participants were 32 South Korean and 35 U.S. upper-grade elementary students. After taking four weeks of music composition sessions, the students composed 8 measures of melody. Students’ music compositions were judged using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As a result, we did not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se variables. But when we conduct further analysis of twelve high and low scored compositions in creativity in both countries,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Music compositions with high creativity manifested various sound potions, development/ contrast, and organization/structure. Low creativity groups has limited sound options and simplicity/repetition. But adoption of pre-existing melody was found only in Korean low-creativity composition.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Conclusion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