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우 관계를 매개로 한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on Learning Participation - Focusing on Self-concept Formation through Teacher/Friend Relationship

  • 854
154425.jpg

의사소통 능력은 학습자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만들고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능력으로 적절한 의사표현은 타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만들어준다. 또한 바른 의사소통기술은 타인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평가를 높게 가지게 하며, 학습자가 학습상황에서 생기는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참여적 접근을 시도하도록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일련의 관계에 주목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코호트 자료 중 6차 년도 조사(2018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 학생 참여(참여형 학습),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자아개념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자아개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과 자아개념의 관계는 교사/교우 관계에 의해 매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은 교사/교우관계를 매개로 한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학생들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와의 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우관계가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이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시사해 주었다. 특히 의사소통 역량 기반 교육은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 그로 인한 자기평가에 영향을 미쳤는데, 의사소통 기술이 학습자의 사회적, 심리적, 학업적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습자들의 사회적 관계가 학습자의 심리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며, 청소년기 자아형성에 교우관계가 핵심요인이 됨을 시사해주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소통적 태도 신장을 통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참여적 학습태도를 결정하는데 주요요인이 될 수 있음을 유추하게 하였다.

Communication skills are essential skills to create and maintai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others, and proper expression of communication makes relationships with others positive. In addition, since proper communication skills elicit a positive response from others, it ultimately makes learners highly evaluate for themselves, and induces learners to attempt a more active participatory approach to problems arising from learning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6th year survey (2018)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Cohort Data,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student participation, teachers/friend relationship and self-concept. As a result, first,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had an effect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which was found to be mediated by self-concep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and self-concept was mediated by the teacher/friend relationship, and consequently, communication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elf-concept mediated by the teacher/friend relationship.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on of the learners self-concept was affected relatively higher the friend relationship tha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munication skills-based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In particular, communication skills-based instruction had an effect on students social relationship formation and self-assessment, which proved that communication skills can affect learners social, psychological, and academic attitud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ocial relations of adolescent learners act 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on learners psychology, and that friendship is a key factor in the formation of adolescent self-concept.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rmation of the learners positive self-concept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learners communicative attitude can be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learning participation attitud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