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치유 복합프로그램이 중・노년층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ean Healing Complex Program on the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Middle and Older People
- 김성수(Kim Seong-Su)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1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135 - 144 (10 pages)
목적: 이 연구는 해양치유 복합프로그램을 5일 동안 단기간으로 집중하여 적용했을 때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피험자는 2개 지자체에서 선정되었다. 보건소에서 사전진료를 받고 대상자로 판정 받은 실험군41명, 대조군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5일간 프로그램은 1일 6시간씩 복합프로그램이 집중 적용 되었으며, 영양, 운동, 기후, 이완치유법이 적용되었다. 측정항목은 무릎과 허리의 근력, 보행속도, 보폭, 칼로리, 심박수, 호흡수, 심부온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ver 21.0을 이용하여 측정항목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집단 간 차이 검증은 집단 간의 사전값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전검사 값을 공변량(covariate)으로 한 공분산 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α =.05로 설정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으며 양측 무릎 폄 근력(좌 <.001, 우 <.016) 우측 무릎 굽힘근력(<.000), 허리 폄 근력(<.001), 보행속도(<.000), 칼로리소모량(<.000), 심부온도(<.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좌측 무릎 굽힘 근력(<.090), 보폭(<.461), 심박수(<.089), 호흡수(<.126)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5일간 적용한 단기간의 해양치유 복합프로그램이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ocean healing complex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when intensive application for a short period of time for 5 day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wo local govern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wo local governments. 41 laboratories and 25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as subjects after receiving prior medical treatment at the health center. The five-day program focused on the composite program for six hours a day, nutrition, Exercise, climate, and relaxation therapy have been applied. Measurement items were knee and lumbar strength, walking speed, stride length, calories,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core temperature.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SPSS/ver 21.0 to calculate the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for each measurement item. The test of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NCOVA) using the pretest value as a covariate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in prior values between group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05. Results :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knee extension strength(left <.001, right <.016), right knee flexion strength(<.000), lumbar extension strength(<.001), walking speed(<.000), calorie consumption(<.000), and core temperature(<.000).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left knee flexion strength(<.090), stride length(<.461), heart rate(<.089), and respiratory rate(<.126).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a short-term Ocean healing complex program applied for 5 day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