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공예 프로그램이 노인 정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 and Craft Program on Elderly Emotions
- 김은성(Kim Eun-Seong)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1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12
- 105 - 115 (11 pages)
목적: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해 대두되고 있는 노인의 여가생활에 자주 활용되는 수공예 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G지역 내 센터에 등록된 60세 이상의 노인 13명으로 2019년 5월 21일부터 6월 21일까지 주 2회씩 4주간, 총 8회로 진행되었다. 매회기당 프로그램 운영은 2시간씩 진행되었다. 결과 도출을 위해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Mann-Whitney U test,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분석 결과, 수공예 활동 전·후 정서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행복감,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스트레스, 우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수공예 활동이 기분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주었으며 활동별 분석 결과 종이공예 활동을 했을 때 기분 변화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공예 활동 프로그램이 행복감,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수공예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기초를 마련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rogram affects the elderly’s emotional change by applying art and craft activity program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he leisure life of the elderly, which are emerg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the aging society. Methods : The subjects were 13 senior citizens aged 60 or older registered at the center in the G region, and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from May 21 to June 21, 2019. The program ran for two hours each time. To derive the results, frequency analysis, Mann-Whitney U test, Wilcoxon’s signed-ranks 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Results : Research and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uphoria,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hen analyzing mood changes before and after art-craft activiti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nd depression. All art-craft activities hav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od changes, and analysis by activity shows that the amount of mood changes is the highest in paper craft activities. Conclusion : It can be explained that handcrafted activity programs affect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foundation has been laid to suppor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andcraft program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old people’s sentim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