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423.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 352

목적: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디자인 개발, 지역사회 재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Google Scholar, KISS, RISS,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총 5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가 Level Ⅳ(조사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가 배우자, 자녀, 며느리 등을 포함한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연구 5편 모두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현황 및 개선요구를 큰 주제로 하였고, 주요 세부 주제는 치매 유형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2편(40.0%), 치매증상 단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치매 관련 증상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주거 공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효율적인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안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주택개조 지원 제도 및 관련 정책의 변화, 다학제적 접근법에 대한 적용방안 마련 및 검토, 치매노인 주거환경 개선 관련 분야에서의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차원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thereby presenting the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hous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 From 2000 to 2020,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searching articles registered in the databases of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inally selecting a total of five studi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all of the researches corresponded to Level IV(research study),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ll studies conducted a survey on housewiv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spouses, children, and daughter-in-law. As a result of analysis of main themes, 2 studies(40.0%)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type of dementia,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 symptom,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related symptoms, 1 study(20.0%)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by housing space was found. Conclusion : In order to derive an efficient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changes in the housing remodeling support system and related policies, preparation and review of application plans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engthen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Multidimensional research for secur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