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 개념과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musical 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 제5권 제3호
- : KCI등재
- 2020.12
- 31 - 58 (28 page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 개념과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총 127명이고, 연구 도구는 Philips(2002)의‘음악적 자아 개념 척도’와 방은영, 박찬옥(2005)의‘음악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Kim과 Choy(2005)의‘음악적 개념 인식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Statistics 27.0을 이용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 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Sobel의 Test(1982)를 사용하여 재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는 첫째, 음악적 자아 개념과 음악 교수 효능감 및 음악적 개념 인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음악적 자아 개념의 하위 요인 중 가창, 흥미와 음악교수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결과 기대감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서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음악적 자아 개념 전체와 음악교수 효능감 전체와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적 자아 개념의 하위 요인 중 자신감과 연주는 음악교수 효능감전체, 그리고 음악교수 능력 신념과의 관계에서 음악적 개념 인식의 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와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인식이 어떠한 매개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등의 재교육시 음악활동이 교수학습방법에만 비중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음악적 개념과 같은 이론적인 부분을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musical 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in music and the efficacy of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12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private kindergartens in K province, and the research tools were SCIM(Philips, 2002), MTEBI(Bang & Park, 2005), and Self-perception on Musical Content Knowledge Scale(Kim & Choy, 2005).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7.0 according to the three-stepmediated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by Baron and Kenny(1986), and re-verified using Sobel Test(1982). As a resul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elf-concept in music’and ‘music teachingefficacy’, all factors except‘ singing’,‘ interest’, and‘ resultant expectation’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musical concept’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self-concept in music’and the ‘the overall music teaching efficacy’and among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rewere partial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s among them.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theoretical parts such as musical concepts, rather than focusing on teaching and learningmethods in the re-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