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4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생존기 유아교사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은유 분석

Metaphorical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survival period

  • 2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발달 단계 중 생존기 교사들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에 대한 은유적 표현과 그 이유를 기술할 수 있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142부의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생존기 유아교사들이 제시한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다음과같다. 다방면 능력 소유자, 유아의 개별성 촉진자, 올바른 유아 성장의 방향 설정 및 도움 제공자, 편안한안식처, 행동 모델링 대상자, 감정노동자,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장하는 자, 기본생활습관 및 행동지도자, 안전한 환경 제공자, 사회적으로 낮은 위치의 10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존기 유아교사들이 유아교사직 수행에 필요한 전문적·개인적 자질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은 유아교사직에대해 ‘감정노동자, 사회적으로 낮은 위치’와 같은 부정적 이미지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생존기 교사 시기에많은 소진을 경험하게 되며 교사의 이직이 많은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현직교육의방향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생존기 유아교사들에게는 직접적인 교수실제에 관한 도움과 함께 정서적 지원을통하여 교사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survival period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ool through which participants expressed images of themselves and explained the reasons. 14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The study resulted in the collection of 192 different ‘metaphors’, which were then organized into 10 distinct themes: versatile and capable individuals with ability, promoters of children’s individuality, assistants for children’s proper growth, providers of comfort and love, models for appropriate behavior, emotional workers, behavior guiders, individuals who pursue constant personal growth, providers of safe environments, and finally, those with a low social position.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in their survival perio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and personal qualiti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while some denoted certain negative images for early childhood teaching. The findings imp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eacher educations programs that differentiate according to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and provide them with emotional supports along with practical assistant for their teaching.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