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46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정체감, 취업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Career Ident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DOI : 10.34138/KJTE.2020.20.3.56
  • 136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이며, 9개 공업계 특성화고 2학년에 재학 중인 450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9월 22일부터 10월 15일까지이었다. 최종 분석에는 불성실 응답과 응답이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385부를 활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사회적 지지 척도, 진로정체감 척도, 취업준비행동 척도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부모의 지지가 가장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교사의 지지가 가장 낮았다.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중 진로에 대한 인지가 가장 높았으며, 진로에 대한 정서나 진로를 찾기 위한 행동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 중 취업예비행동이 가장 높았으며, 공식적, 비공식적 취업정보탐색 행동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그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는 그들의 진로정체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그들의 진로정체감은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넷째, 그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줄뿐 아니라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하여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career ident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was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ree hundred eighty five out of 4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liminating unreliable responses and incomplete respons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social support scale, career identity scal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ca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or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 In the domain of social support, ‘parent support’ was the highest, and teacher support was the lowest. In the domain of career identity, ‘cognition for career identity’ was high, but ‘emotion for career identity’ and ‘behavior for career identity’ were moderate. In the domain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employment preparatory behavior’ was high, but ‘exploration of official employment information’ and ‘exploration of non-official employment information’ were moderate. Second, social support for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career identity. Third, their career identity had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career identity was significant in pathway from social support to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